미래창조과학부는 24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의 호원경, 전주홍 교수 연구팀이 그동안 베일에 가려져 있었던 렙틴과 인슐린의 상호 작용을 분자 수준에서 밝혀냈다고 전했다.
렙틴은 음식물 섭취와 체중,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지방세포 유래 호르몬이다. 렙틴 유전자의 이상은 비만과 당뇨를 유발할 수 있어 식욕억제 또는 비만억제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렙틴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으면 식욕이 억제되지 않아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었지만 어떻게 연결되는지 드러나지 않았다.
‘KATP 채널’은 세포막에서 세포의 에너지 상태를 감지하며 과도한 인슐린 분비를 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복상태가 되면 혈당 수치가 떨어지면서 인슐린의 분비가 억제되는데, 이는 식후에 인슐린이 분비되도록 세포 안에 머물러 있던 KATP 채널이 공복상태에서는 세포막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결국 렙틴이 있어야만 공복상태에서 과도한 인슐린 분비를 억제할 수 있는 셈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지업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15일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관련기사 ◀
☞ 살찌는 사람 공감, '식습관만 봐도 비만인지 알 수 있다?'
☞ ‘감자형’ 몸매, 당뇨병 위험 높다
☞ 서울 시민 4명 중 1명 비만, 美선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 '논란'
☞ 서울시민 갈수록 뚱뚱해진다…비만율 4년 연속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