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레버리지 비율 ‘금리 인상기’에도 올라
26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매크로레버리지 비율은 작년말 251.3%를 기록했다. 글로벌 기준(245.1%)보다 높았고 선진국(264.3%)대비로는 낮은 수준이다. 다만 가계·기업만 분류한 민간신용 비율은 207.4%로 선진국(160.6%)보다 높다. 장기추세선과 비교해선 2.7%포인트 낮아졌다. 2018년말(0.7%포인트 하락) 이후 처음으로 장기추세선을 하회했다.
|
한은은 “전체 신용에서 차주가 가계 또는 기업이 82.5%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운데 2018~2020년 경제성장세 둔화와 민간신용 확대가 맞물리면서 매크로 레버리지가 빠르게 상승했다”고 평가했다. 2017년말까지만 해도 매크로 레버리지는 206.7%였으나 5년 만에 무려 44.6%포인트나 급등한 것이다. 한은은 “코로나19 이후 주요국에선 디레버리징(Deleveraging·부채 감축)이 진행된 반면 우리나라는 기업 부문 중심으로 레버리지가 한동안 상승세를 지속했다”고 밝혔다.
|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취약기업 비중 40.6%
가계의 경우 선진국 대비 채무상환부담이 높은 편이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DTI·OECD 데이터 활용)은 2022년말 기준 203.7%, 자산 대비 부채 비율(DTA)은 51.0%로 선진국 평균(DTI 160.7%, DTA 28.5%)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전체 가계대출에서 소득 하위 40%가 차지하는 비중은 33.4%로 선진국 평균(37.2%) 대비 낮았다. 빚을 내 집을 사기 위한 수요가 많기 때문에 차주 구성은 고소득, 고신용 차주 비중이 많다. 전체 가계부채 중 고신용 차주의 부채 비중이 78.6%에 달한다. 주택가격과 가계부채 비율간 상관관계는 우리나라가 0.62로 11개국 중 가장 높았다. 영국, 일본 등은 마이너스를 보이기도 했다.
취업기업과 취약부채가 증가했지만 재무구조가 나빠진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한은은 “전기전자, 석유화학 업종 등을 중심으로 투자 확대를 위한 차입이 늘어났지만 유상증자 등 자본확충도 동반됐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기업의 차입금 의존도(총차입금/총자산)는 24.1%, 부채비율(총부채/총자본)은 99.2%로 선진국 평균(32.8%, 151.9%)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25.1%, 105.1%)보다도 개선된 것이다.
정부 신용비율은 43.9%로 선진국(103.7%) 대비 크게 낮은 편인 데다 작년 총지출 규모가 610조7000억원으로 전년보다 71조7000억원 감소했지만 안심하긴 이르다는 평가다. 저출생·고령화 등으로 복지 분야의 의무지출 증가세가 지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작년 들어 공적연금이나 국채 이자 등 법령에 따라 지출 규모가 결정되는 의무지출 비중은 전체 지출의 53.2%로 재량지출(46.8%)을 초과했다. 한은은 “비기축통화국은 국가채무가 빠르게 증가할 경우 국가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자본유출과 금융·외환시장 불안 가능성이 있다”며 “보다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작년부터 민간신용 증가세가 상당히 둔화하고 있지만 가계부문은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의 적절한 운용 등을 통해 가계부채 비율을 줄여나가고, 기업은 질서 있는 구조조정을 추진해 부동산 등 특정 부문으로의 신용 쏠림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