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 관광이 2008년 7월 우리 관광객 박왕자씨 피격 사건으로 7년이 넘게 중단된 상태로, 그동안에도 남북간 풀어야 할 현안 중 하나이긴 했다.
남북간 민간 교류 활성화와 동질감 회복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관련 기업들의 피해 규모도 갈수록 불어나고 있다.
금강산관광 중단에 따른 피해액은 올해 11월 말 기준으로 현대아산이 1조762억원(금강산 9300억원, 개성 1462억원) 협력업체 3724억원(금강산 3358억원, 개성 366억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우리 정부도 남북 교류 협력의 물길을 넒히기 위해 금강산 관광 재개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도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금강산 관광 문제는 별건으로 따로 떼어서 논의를 할 사안이지 다른 현안과 ‘맞바꾸기’를 할 수 있는 현안은 아니라는 것이다.
북측의 입장은 달랐다.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 부국장으로 알려진 북측 수석대표 전종수 북측 단장은 금강산 관광을 내년 3~4월에 재개하면 이산가족 상봉도 할 수 있다며 구체적인 협상 조건까지 제시하며 ‘빅딜’을 시도했다.
북측이 막판에 회담 종료를 선언한 것도 ‘남측이 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한 의지가 없기 때문’이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2일 회담 종료 후 “남측은 금강산 관광 재개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 토의를 거부하면서 부당한 주장을 고집해 나섰다”며 “남측의 이러한 그릇된 입장과 태도로 하여 이번 회담은 아무런 결실이 없이 끝났다”고 보도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결국 북한 입장에서는 금강산 문제를 본격적으로 남북 대화 협상의 핵심의제로 부각시키는데 나름대로 성과를 냈다고 볼 수 있다”며 “이번에는 당장 회담이 결렬된 것 처럼 보이지만 우리 입장에서도 북한의 입장을 명확하게 확인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임 교수는 “우리도 이번 회담 결과를 바탕으로 여론 수렴 등 필요한 검토작업을 할 수 있을 것 ”이라며 “우리가 이번 회담에서 북한이 강하게 주장한다고 해서 금강산 관광 재개를 받을 수는 없었다. 거쳐야 할 단계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