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공릉역을 포함해 노후도가 심한 역세권 5곳을 선정해 고밀도 개발을 유도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 각 지역의 노후화 된 역세권 개발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주요 골자는 역세권 내 용도지역 변경(일반주거→상업지역 등)으로 용적률을 높여주고 증가한 용적률의 50%를 공공기여로 받는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때 공공기여는 공공 임대시설(주택·오피스·상가 등)이나 문화시설, 공용주차장 같이 지역에 꼭 필요한 시설로 받고 지역의 입지특성에 따라 다양한 시설을 적절한 비율로 조성한다. 민간사업자는 사업성을 높이고 공공은 지역에 필요한 생활SOC를 확충할 수 있는 윈-윈(win-win) 전략이다. 공공기여로 확보하는 시설은 주민들의 수요를 반영해 확정한다. 업무중심지의 경우 임대오피스를, 상업중심지는 임대상가와 공용주차장을 우선적으로 확보하는 방식이다.
역세권은 지하철역 승강장 경계부터 반경 250m 이내에서 가로구역 기준으로 설정한 지역으로 서울시내에는 총 307개소가 있다. 역세권 활성화사업은 역세권에서 △도로 조건 △필지 규모 △노후도 등 3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곳에서 시행할 수 있다.
|
시는 역세권 활성화 사업의 조기정착을 위해 SH공사와 함께 올 하반기 7호선 공릉역 역세권을 시작으로 총 5개곳에서 역세권 활성화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공릉역 역세권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시범사업지는 검토 중이며 자치구와 연계한 공모방식을 통해 상대적으로 저개발된 강북 지역 역세권 등 역세권 활성화의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보이는 지역을 중심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권기옥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시내 역세권 총 면적 55㎢는 서울시 시가화 면적370㎢의 약 15%를 차지한다”며 “역세권 복합개발을 통해 역세권을 대중교통 및 시민활동의 중심으로 활성화하면서 공공주택 등을 공급해 주거와 비주거 기능이 결합된 입체적인 콤팩트 도시를 만드는 시발점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