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통화스와프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한국은행 간 계약이기 때문에 통화스와프 계약에 도장을 찍기 전까진 정상회담 때와 유사한 선언적이고 원론적인 문구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재부 등에 따르면 추 부총리와 옐런 장관은 한미 양국이 ‘필요시 유동성 공급 장치’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실행할 여력이 있다는 데 인식을 공유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유동성 공급 장치에 통화스와프가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그것까지 감안한 표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면서도 “통화스와프는 연준 소관이라 재무장관이 그것을 구체적으로 얘기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다만 양측은 통화스와프 등 외환시장 안정책이 당장 필요할 만큼 시급한 상황은 아니라는 데 인식을 공유했다. 양국 장관은 “대외 요인에 의해 최근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증가했으나 외환건전성 제도 등에 힘입어 한국 내 외화유동성 상황은 과거 위기시와 달리 여전히 양호하고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달러 유동성 상황이 악화될 때 한미 통화스와프 재개와 관련 구두 약속을 받은 것이라고 보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한미 통화스와프는 연준 소관인데다 연준 의장 마음대로 결정할 수 없을 뿐더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의결 사항이기 때문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통화스와프는) 미국의 전체적인 통화정책 틀 안에서 하는 것”이라며 “고유명사로 뭔가가 구체적으로 나오게 할 수 있는 그런 상황은 아니고 좀 더 얘기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백석현 신한은행 연구원은 “재무장관 회의는 정상회담 때 얘기했던 내용을 되풀이하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연준은 통화스와프를 재개하더라도 우리나라만 해주지 않고 여러 개 국가들과 같이 했었다”며 “미국이 경제 안보 차원에서 안보 동맹국의 우려 사항을 적절하게 배려해주는 듯한 모양새로 ‘(달러 유동성 문제 생기면) 해줄게’ 같이 원론적인 얘기를 반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