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핀테크(FinTech)’ 사용량 증가가 통화정책에 대한 국내총생산(GDP), 소비자물가지수(CPI), 은행대출 등 거시변수 반응을 약화시킨다는 분석이 나왔다. 비교적 신용 제약이 덜 한 핀테크 서비스가 기존 은행부문 역할을 대체하면서 통화정책 영향력을 제한한다는 주장이다.
| 사진=이데일리DB |
|
한국은행은 21일 ‘핀테크의 확산과 통화정책 파급효과 분석: 중국 사례 연구’라는 제목의 BOK경제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를 집필한 곽보름 한은 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 과장은 정보통신기술(ICT)을 바탕으로 한 온라인 결제와 대출 등 핀테크 서비스가 확산하는 경우 전통적 금융기관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약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통화정책 파급력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
중국인민은행 통화정책에 따른 중국의 지역별 경제변수들 반응이 핀테크 이용량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포착하기 위해 모형을 설정, 2011년 1분기부터 2018년 4분기를 대상으로 분석됐다. 핀테크 이용량은 중국 내 제3자 지급부문 1위 업체인 ‘알리페이(Alipay)’를 통한 온라인 지급, 대출, 보험, 단기금융펀드, 투자 등 금융서비스 이용량을 활용했다.
| 자료=한국은행 |
|
분석 결과 통화정책 충격에 대한 GDP, CPI, 은행대출, 주택가격 반응이 핀테크 사용량 증가로 유의미하게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은행대출에 대한 반응 저하가 즉각적으로 나타나고,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곽 과장은 “거시변수 반응이 약화되는 이유는 중앙은행 정책이 불변인 상태에서 핀테크 사용 확대에 따라 신용 제약이 완화됐기 때문”이라며 “핀테크 신용은 소규모 가계대출이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인데, 기존 금융권에서 이들의 신용제약은 제약이 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핀테크 확산은 통화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은행부문의 비중도 감소시킨다”며 “핀테크와 은행서비스는 경쟁 관계에 있기에 핀테크가 은행을 대체함으로써 통화정책에 대한 반응을 약화시킨다”고 부연했다.
이처럼 핀테크 서비스 확산이 통화정책 파급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 만큼, 관련 서비스 추이를 모니터링하고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따랐다. 곽 과장은 “중국만큼은 아니지만 우리나라에도 핀테크가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다”며 “확산세가 전 세계적 현상인 만큼 우리나라에서도 핀테크 관련 서비스 추이를 세심하게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