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면 윤 일병 사건이 14년만에 발생한 군내 구타로 인한 사망사고라는 점에서 김 전 장관의 대응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방부 장관은 몰랐다?”…부실보고에 부실대책
논란의 발단은 윤 일병 사망 다음날인 4월 8일 오전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이 받은 한 장짜리 보고서에 ‘지속적인 구타·가혹행위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됨’이라는 문장이 포함돼 있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부터다. 야권에서는 이 내용을 간과한 김 전 장관이 지휘부와 함께 책임을 져야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김 전 장관은 4월 8일 오전 7시 10분 조사본부의 서면보고와 7시 30분 조찬간담회에서 이뤄진 대변인의 간략 보고만 받아 사태 파악에 한계가 있었다는 입장이다. 지속적인 구타·가혹행위등 김 일병 사건에 대한 세부적 내용을 인지하지 못한 탓에 구타 근절에 초점을 맞춰 전군에 특별 부대정밀진단을 지시하는 데 그쳤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중요사건보고는 군내 사망사고와 성추행 사건 내용 등을 담은 보고서고 매년 130~150건 정도가 올라온다. 당시는 북한 무인기 정국이었고 세월호가 침몰사고가 일어나는 등 어수선한 기간이었기 때문에 윤 일병 사건을 챙길 겨를이 없었다”고 말했다.
엽기·가혹행위 세부보고 누락 가능성
윤후덕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실 관계자는 “윤 의원이 6군단 부대현장방문을 했을 당시 군단 헌병대가 조사본부에 상세한 구타·가혹행위를 담은 보고서를 제출한 사실을 확인했다”며 “인사참모, 조사본부 등이 이 내용을 자신의 선에서 차단한 것 같다”고 전했다. 김 전 장관이 이 내용을 보고 받았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김 전 장관측은 헌병대가 발송한 보고서 상의 세부내용은 보고받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현재는 보고계통에서 이를 누락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이번주 초 28사단에서부터 국방부로 이어지는 지휘보고계통에 대한 감사를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문책 범위는 감사결과에 따라 확정될 전망이다. 국방부 감사관실은 28사단-6군단-3군사령부-육군본부-국방부 등으로 이어지는 보고체계에 대한 감사를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