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발표한 대한골대사학회 팩트시트에 따르면 국내 50세 이상 골다공증 유병률은 여성에서 37.3%, 남성에서 7.5% 이다. 골감소증은 여성에서 48.9%, 남성에서 46.8%다.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골다공증 환자의 비율은 더욱 증가한다. 인구구조가 변화하면서 유병률이 상승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로 접어들고 있으므로 그에 따라,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골밀도가 낮아지는 중요한 원인은 폐경과 노화이다. 우리의 뼈는 사춘기에 90%로 형성되어 30대 초까지 골량이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 골량이 서서히 줄어든다. 여성의 경우에는 폐경이 매우 큰 영향을 준다. 서서히 줄던 골량이 폐경 후, 급격히 줄어들게 되는데 이는, 골밀도를 유지해주던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감소하게 되어 골밀도 유지의 기능을 소실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내분비 호르몬 질환이나 만성 기저질환, 약물에 의해서 유발되는 이차성 골다공증의 경우도 있다.
초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척추뼈가 약해져서 중력에 의해 눌리게 되면, 키가 작아지거나 척추가 휘는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심한 경우에는 골절이 나타나는데, 50~60대에서는 주로 손목과 발목의 골절이 호발하며 70대 이상에서는 고관절과 척추의 골절이 주로 나타난다. 김경진 교수는 “특히 고령에서 골다공증 골절이 발생하면, 여러 가지 질환이 동반된 상태에서 회복기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는데, 긴 회복기간 동안 거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전체적인 신체의 기능과 건강 상태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고관절 골절의 경우 1년 내에 사망하는 경우가 16.6%, 남자의 경우 21.5%에 달할 정도로 심각한 영향을 준다.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칼슘 및 비타민D 보충제 복용, 적절한 단백질 섭취 등의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한 식습관이 중요하며, 과도한 음주 및 카페인 섭취의 제한도 중요하다. 또한 골절 예방을 위해 개인의 몸 상태에 맞는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요법과 낙상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골다공증을 진단받은 경우,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원인질환이 있다면 그 질환을 우선 치료해야한다. 원인 질환이 없다면, 골절 위험도 평가 및 각 골다공증 약제의 특성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고 개별화하여 골다공증 약물 치료를 시행한다.
김 교수는 “일부 매체에서 생산한 부정확한 정보로 인해 골대사질환 환자들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속설이나 근거없는 기사가 건강을 해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골대사질환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골밀도 검사결과와 여러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골절 위험도를 진단하고 정확히 처방할 수 있는 골대사 전문의와 상의할 것을 조언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