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한 달여 사이에 수도권 18개 시·군을 초토화시키고 소·돼지 173만마리가 매몰 처리됐다. 이후 구제역은 전국으로 확산돼 전국 11개 시·도 농가 6241곳에서 348만 마리를 살처분됐다.
구제역이 수도권으로 확산되면서 과거의 악몽이 또 다시 재현되는 것은 아니냐는 공포감이 몰려왔다. 정부는 급기야 지난 31일부터 1월1일까지 ‘전국 소독의 날’로 지정하고 가축이동을 제한한 뒤 전국적인 소독작업을 추진키로 했다.
구제역의 전염 경로는 여전히 모호하다. 공기 중 전염가능성도 대두되고 있지만 2010년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됐을 당시에도 그 같은 증거를 찾을 수는 없었다. 정부는 사람이나 차량 이동을 통한 전염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차단 방역을 하고 있다.
그러나 농가의 인식 개선도 결국 정부의 몫이다. 특히 선진국에서 발병률이 낮은 구제역이 우리나라에서 여전히 횡행하고 있다는 점은 깊게 반성해야 한다.
지난달 19일 기준 2014년 한 해동안 구제역이 발생한 해외 국가는 총 14개국(651건)이다. 그 중 선진국은 단 한 곳도 없다. △중국 A형 4건, O형 2건 △러시아 A형 3건, 0형 8건, △몽골 0형 15건 △이스라엘 0형 2건 △남아공 SAT2 4건 △짐바브웨 SAT1 8건 △보츠와나 SAT1 3건 △나미비아 미정 2건 △북한 O형 24건 △기니 미정 2건 △튀니지 O형 150건 △알제리 O형 420건 등이다.
정부는 2010년 전국을 휩쓴 구제역 여파로 2조7383억원 가량을 쏟아 부었다. 정부가 모든 책임을 농가에 전가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