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가 조사과정을 공개하기로 한 것은 합동조사반 조사에 대한 공정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다. 특히 국토부는 급발진이 의심되는 6건의 사고차량 중 차주가 공개를 원하는 3건에 대해 7월 중 구체적인 사고원인을 공개하기로 하는 등 그 어느 때보다 확신에 찬 모습이다.
지난 5월 민간전문가와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한 합동조사반이 꾸려지기 전까지는 국토부 산하 안전연구원에서 급발진 추정사고 원인을 분석해왔다. 그러나 조사가 시작된 1999년 이래 대부분의 사고는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으로 판명됐다.
이로 인해 정부 조사는 공정성이 없다는 지적이 잇따랐고, 이에 국토부는 합동조사반의 조사과정을 모두 언론에 공개해 불신을 씼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이다. 사고 당사자와 시민단체 등이 포함된 합동조사반을 꾸린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특히 조사반이 `블랙박스`라 불리는 `사고기록장치(EDR)`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문제 삼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EDR 자체가 페달을 밟을 때 온오프로 기록되는데 정확도가 떨어진다"며 "발만 얹어도 페달을 밟은 것으로 기록되는 경우도 있어 EDR만으로는 제작 결함을 밝혀내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다음달 발표는 제작결함이냐 운전자의 오·조작이냐는 명확하게 구분될 것"이라며 "운전자 과실이 아니라는 결과가 나오면 추가 조사를 통해 원인 규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자동차 제작사들은 `정부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공통된 입장 외에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한 국내 자동차 업체 관계자는 "정확한 조사를 통해 급발진 추정 사고에 대한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현대차그룹, 문화예술분야 나눔사업 나선다
☞현대차, 화물차량 특별 무상점검 서비스 실시
☞현대차, `유로 2012 i30 경품 대잔치`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