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8월16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4.16 세월호 참사 피해자 가족 초청 간담회에서 한 가족과 포옹했다. 문 대통령은 “늦었지만 정부를 대표해서 머리 숙여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제공 |
|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지난해 해상사고로 인한 사망·실종자가 세월호 참사 이후 최소 규모였다.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해상 안전관리를 강화하면서 인명 피해가 줄었기 때문이다.
16일 해양경찰청이 공개한 ‘해상조난사고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해상조난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88명(사망 56명, 실종 32명)이었다. 이는 해경이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2014년 이후 관련 통계를 확인한 결과 최소 규모다. 인명피해 규모는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2017년 이후 2년 연속 감소 추세다.
구조 규모는 꾸준히 늘었다. 해경이 구조한 선박은 2017년 3108척에서 2018년 3385척, 2019년 3720척으로 증가했다. 구조한 인원은 같은 기간 1만7188명에서 1만9507명, 1만9122명으로 증가했다. 최정환 해양안전과장은 “세월호 사고,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선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앞서 문재인정부는 대선 공약을 반영해 2017년 7월26일 해경을 부활시켰다. 이후 해경은 재조(再造)해경 5개년 계획을 수립해 안전관리를 강화했다. 전국 25개 파출소를 구조거점 파출소로 전환해 골든타임 내에 현장에 도착하도록 했다. 이낙연 국무총리 당시에는 ‘연안선박 안전관리 강화방안’을 통해 출동시간 목표제, 도착시간 관리제도를 전격 도입했다.
문 대통령은 2017년 9월13일 제64주년 해양경찰의 날 기념식에서 “바다에서 눈물 흘리는 국민이 없어야 한다”며 “세월호를 영원한 교훈으로 삼아주십시오”라고 당부했다. 이어 “3년 전 해경은 세월호 참사 때 보여준 실망스러운 모습 때문에 조직 해체라는 아픔을 겪었다”며 “새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더욱 뼈를 깎는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현배 해경청장은 “바다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국가의 의무이자 해양경찰의 존재 이유”라며 “국민이 요구하는 것은 위급한 상황이 있을 때 긴급출동을 해달라는 것이다. 다시는 세월호 같은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초동 대처를 잘 하겠다”고 약속했다.
| 지난해 해상사고 인명피해(사망·실종자)가 2014년 세월호 이후 최소 규모였다. 단위=명 [출처=해양경찰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