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국립고궁박물관은 어보 322과의 분석 성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어보 과학적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어보는 의례를 위해 제작된 인장(도장)으로, 조선 시대부터 대한제국 시대까지 약 500년에 걸쳐 제작된 대표 왕실문화재이다.
| 세종비 소헌왕후 상시호 금보 모습(사진=국립고궁박물관) |
|
어보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국왕과 왕실 전체의 권위를 상징하는 역사성과 진귀함으로 2017년에는 ‘조선왕조 어보·어책’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바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어보의 과학적인 분석자료를 확보하고자 2018~2020년까지 총 3년에 걸쳐 연구를 진행했다. 금보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자체적으로 분석했고, 옥보는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과 공동연구로 진행했다. 이번 분석은 어보의 구성 재료와 제작기법에 중점을 두어 비파괴 분석방법으로 표면을 분석하였다.
어보 분석 결과가 종합·정리된 이번 3편의 보고서에는 1권에는 박물관 소장 어보의 과학적 분석 개요와 금보, 옥보의 제작기법과 재질, 특징 등 연구 결과를 정리한 4편의 논고가 담겼다. 2권에는 금보 분석 결과, 3권에는 옥보 분석 결과가 수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금보는 구리-아연 합금 등에 아말감 기법으로 도금해 제작했다. 옥보는 대다수 사문암질암으로 제작됐다. 보수(어보에 달린 붉은 끈으로 장식과 관리 목적으로 제작)는 대다수 비단으로 제작됐다. 1740년과 1900년대 이후 제작된 일부 보수에서는 인조 섬유가 확인되기도 했다.
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보고서는 앞으로 어보 환수나 유사 유물의 시기 판별에 기준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3권의 보고서는 국공립 도서관, 박물관, 연구기관 등에 배포될 계획이다.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에서도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