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최근 이용자들은 카카오톡을 통해 자신의 대화 내용을 수사기관이 들여다볼 수 있다는 사실에 불안을 느끼고 있다. 다음카카오 주가도 곤두박질치고 있다.
다음카카오 입장에서는 억울한 측면도 있다. 이 대표도 다음카카오 합병 간담회 당시 “정당한 법 집행에는 협조할 수밖에 없다”, “검찰이 부르는데 안 갈 수없는 것 아니냐”라고 말했다.
카카오톡을 풍자한 ‘가카오톡’이 등장하고 카카오톡에 실망한 이용자들이 독일 메신저 ‘텔레그램’으로 ‘사이버 망명’을 하는 등 후폭풍이 거세지자 다음카카오도 뒤늦게 방벽을 쌓는 일에 나서고 있다. 카카오톡 메시지 저장기간을 2~3일로 축소하고, 프라이버시 모드를 도입한다는 등의 대응책을 내놨다.
하지만 이용자들의 분노를 잠재우기에는 늦은 감이 없지 않다. 이용자들은 이번 논란과 관련, 무분별한 사이버 검열이 문제의 핵심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다만, 이용자들이 다음카카오를 통해 보고 싶었던 것은 ‘국가 권력 앞에서 어쩔 수 없다’라는 식의 대응이 아니었던 것이다.
이 대표는 1일 간담회 당시 “(수사기관에서 카카오톡 메시지 수색 요청을 한 것에 대해) 보고 받은 내용이 없다”, “카카오톡의 서버가 암호화됐는지에 대해 확인해봐야 한다”는 등의 무성의한 답변을 했다. 고객이 가장 민감하게 보는 사안에 대해 기초적인 지식과 정보도 알지 못한다는 오해를 주기에 충분했던 것이다.
이 대표는 오는 1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 신분으로 참석한다. 국감장에선 검찰의 사이버 검열 관련 대책회의에 참석한 동기, 사이버 검열 의혹 등에 대해 진술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용자들은 서비스의 품질 외에도 기업이 어떤 생각을 갖고 서비스를 운영하는지 중요하게 생각한다. 한때 인기 높았던 ‘프리챌’은 유료화 정책에 대한 소통 부재로, ‘네이트온’은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 한순간에 외면당했다. 기능이나 서비스질이 떨어져서가 아니라 이용자들의 믿음을 제대로 지키지 못해서였다. 이 대표가 국민 앞에서 어떤 생각을 털어놓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