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치매에 걸리면 장내 박테리아의 개체 수가 크게 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일(현지시간) 영국의 ‘메디컬 뉴스 투데이’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일본 국립 노인병·노인학 센터의 기억장애 전문가인 사지 나오키 박사 주도하에 기획됐다. 해당 보고서는, 미국 뇌졸중협회 주최로 오는 5일(현지시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열리는 ‘2019 국제 뇌졸중 회의’에서 발표된다.
이 연구는 장내 박테리아가 치매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 가능성을 보기 위해 시작했다. 센터의 기억장애 클리닉에서 128명의 자원 환자를 모집, 평균 연령이 74.2세였고 59%는 여성이었다. 연구팀은 신경 심리 검사로 이들의 인지능력을 평가하고 뇌 자기공명영상(MRI) 촬영도 했다.
연구 결과 일부 참가자에 한해 치매 증상이 있었다. 연구팀은 장내 박테리아 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변 샘플을 분석, 치매 환자의 대변엔 암모니아, 인돌(indole) 등 화학물질 수치가 높았다. 또 치매 환자는 균 유사체인 박테로이드(Bacteroides) 수치가 정상 환자보다 낮았다. 유독성 섬유소를 인체가 쓸 수 있는 당류로 분해하는 박테로이드는 인체에 이로운 세균이다.
다만 셀룰로스를 분해하는 루미노코쿠스(Ruminococcus) 속(屬) 세균 수치는 치매 환자가 더 높았다. 나오키 박사는 “관찰연구를 한 것이고 대상군도 작았으나 교차비(odds ratio)는 확실히 높았다”며 “장내 박테리아가 치매 예방의 목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장내 미생물 전체(microbiota)가 독립적이고 강력한 치매 위험 요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향후 이 분야의 연구는 치매의 결과로 장내 박테리아의 변화가 생긴 건지, 아니면 박테리아의 변화가 치매를 유발한 건지를 밝히는 것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