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에 따르면 인천가톨릭대 간호대 임수진 교수가 2020년 질병관리청의 온라인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전국의 중ㆍ고교 800곳에 재학 중인 청소년 5만4,948명을 대상으로 범불안장애 유병률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한국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관련 요인)는 대한보건협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대한보건’ 최근호에 실렸다.
범불안장애는 불안 장애의 일종으로, 주 증상은 통제가 어렵고 지속적인 걱정과 불안에 휩싸이는 것이다. 걱정거리가 많고 걱정을 통제하기가 어려우며 초조함ㆍ쉽게 피로해짐ㆍ집중 곤란ㆍ신경과민ㆍ근육 긴장ㆍ수면 곤란 중 세 가지 이상의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하면 범불안장애로 진단된다.
임 교수는 청소년이 불안 관련 7가지 질문에 직접 답변하게 하는 평가도구(GAD-7)를 이용했다. 불안 또는 걱정과 관련된 7가지 문항에 대해 청소년 스스로가 그 정도를 0점(전혀 없었다)에서 3점(거의 매일 느꼈다)까지 매기도록 했다. 각자의 평가도구 점수가 0∼9점이면 범불안장애 저위험 그룹, 10~21점이면 고위험 그룹으로 분류했다.
임 교수는 논문에서 “우리나라 여성 성인의 범불안장애 평생 유병률이 2.8%로, 남성(1.9%)보다 높았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다”며 “코로나-19가 오래가면서 일반 국민의 불안ㆍ우울 상태도 심화해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GAD-7 검사를 수행하는 연구에서도 응답자의 12.7%가 10점 이상의 점수를 받았다(범불안장애 고위험 그룹)”고 지적했다.
임 교수는 “이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로 불리는 10대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이 범불안장애를 비롯한 정신건강 문제를 부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며 “범불안장애가 있으면 우울증ㆍ공황장애ㆍ사회공포증ㆍ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다른 정신장애를 함께 갖기 쉽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