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20대 고용률은 큰 폭으로 하락했고, 60대 고용률은 상승하는 등 연령별 불균형도 여전했다. 특히 20대 고용률은 지난 1999년 2월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 경기불황, 고용지표에도 반영
통계청은 2월 취업자가 2398만4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0만1000명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10년 2월 12만 5000명을 기록한 이후 최저치다. 통계청은 설 연휴 이틀(2월10일~11일)이 경제활동인구조사 기준 기간(2월10일~16일)과 겹치면서 일용직 취업자 수가 급감한 탓이라고 설명했다.
고용률 역시 2011년 2월(57.1%)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월 고용률은 57.2%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3%포인트 떨어졌다. 박근혜 정부가 고용률 기준으로 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고용률인 15~64세도 62.7%로 0.3%포인트 하락했다. 실업률은 4.0%로 지난해 2월(4.2%) 이후 처음으로 다시 4%대로 올라섰다.
◇ 연령별 고용불균형 심화..20대 고용률 감소폭 14년 만에 최대
청년 구직의 벽은 여전히 높았다. 한창 구직활동을 할 나이인 25~29세 고용률은 67.3%로 전년 같은 달 69.5%에 비해 2.2%포인트나 하락했다.
재정부 관계자도 “인구 비중이 큰 20대를 중심으로 고용여건이 나빠져 청년층 전체의 고용사정이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7만9000명 늘며 8개월째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증가폭은 전달(15만6000명)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수출 감소가 제조업 취업자 수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고용 형태로는 임시직과 일용직의 취업자 수가 크게 감소했다. 임금 근로자 중 상용직은 52만9000명 증가했지만 임시직은 15만1000명, 일용직은 11만명 줄었다. 비임금근로자 중 자영업자와 무급가족 종사자는 각각 1만5000명, 5만1000명 감소했다. 자영업자는 1만5000명으로 전년대비 0.3% 감소하며, 두 달째 감소세를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