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보고서에는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국보)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국보) △칠장사 삼불회 괘불탱(보물) △청룡사 영산회 괘불탱(보물), △축서사 괘불탱(보물) △오덕사 괘불탱(보물)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보물) 등 총 7건의 대형불화에 대한 과학적 분석 결과와 채색 정보, 관련 유물의 원형 자료와 보존 현황 정보 등의 내용이 종합돼 있다.
보고서에는 자외선·가시광선 반사 분광 분석을 적용한 청색과 흑색 유기 색료 해석 등 채색 재료 분석 데이터와 바탕 직물에 대한 조사 결과가 담겼다.
장신구와 복식에서 안료에 가려져 있던 색상 표시 묵서 39자가 확인돼 여러 화원들이 분업해 대형불화의 채색을 완성해 나간 방식을 짐작할 수 있었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대형불화가 원형을 잃을 경우를 대비한 복원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두 기관이 2015년부터 10개년 간의 계획으로 진행한 사업이다. 과학적 분석은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수행해 조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올해에는 갑사 삼신불 괘불탱(국보), 금당사 괘불탱(보물), 율곡사 괘불탱(보물), 운흥사 괘불탱 및 궤(보물),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보물), 안국사 영산회 괘불탱(보물), 흥천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및 괘불함(서울시 유형문화재) 등 7건을 대상으로 3월 22일부터 정밀 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