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전날 기자회견에서 “파나마운하와 그린란드 장악을 위해 군사력과 경제적 강압 수단을 사용하는 것을 배제한다고 약속하지 않겠다”고 말한 데 대한 언급이다.
김 의원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지명자 등과 대화를 나눴다”며 “나는 그들에게 미국이 한미일 3국 협력과 쿼드(Quad, 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 등을 계속 이어가야 한다는 의견을 전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미관계의 가교 역할을 하길 희망한다”며 “나는 한국을 책임지는 지위에 누가 있든 미국은 한국의 곁에 서 있을 것임을 한국민들에게 확신시키길 원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요하게 제기할 것으로 보이는 한미간 안보부담 공유 문제에 대해선 “미국이 모든 부담을 짊어져서는 안 되지만 우리는 미국이 다른 나라들에 자선을 베푸는 것이 아님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주한미군 주둔의 이유에 대해 “한국 보호뿐 아니라 대만해협에 관해 대중국 억지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면서 “그래서 트럼프 당선인 등이 마치 우리가 오직 한국 방어를 위해 거기 있고, 아무것도 얻어가는 것이 없다는 식으로 말하는 것을 들을 때 좌절감을 느낀다”고 털어놨다.
지난달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계엄 선포의 초기 행동들에 대해 분명 우려했지만 국회가 신속하게 해제를 결의하고 군이 그날 밤 그 명령(국회의 계엄 해제 결의에 따른 명령)을 지키는 것을 보면서 일이 도를 넘어선 때도 한국의 민주주의가 작동하고 있으며, 민주적 절차가 안정적인 방향으로 상황을 되돌릴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의 정치인들은 지금 국민들이 모든 언행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듯 지켜보고 있음을 알고, 언행을 매우 신중하고 사려 깊게 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길 희망한다”고 제언했다.
지난해 11월 상원의원 선거에서 당선되며 한국계 미국인으로는 처음 상원의원이 된 김 의원은 지난 3일 119대 미 의회 개원과 함께 상원의원으로서의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