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국제 곡물가격이 뛰고 수출 제한 품목이 늘어나고 있지만, 정부는 아직까진 주요 수입 농식품의 수급에는 큰 문제가 없단 판단이다. 다만 소비자와 농가 등의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을 늘리는 한편 안정적인 식량 공급체계를 갖추기 위한 중장기 대책도 함께 추진한단 계획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곡물 공급 부족에 따른 전 세계 식량난이 우려되는 가운데 주요 곡물과 식품 수출국들의 보호무역 조치가 확산하고 있다. 인도는 지난 13일 밀 수출을 전격 중단한 데 이어 25일 올해 설탕 수출량도 1000만t으로 제한했다. 파키스탄도 설탕 수출을 전면 금지했고 말레이시아는 다음 달부터 닭고기 수출을 금지한다.
정부는 이 같은 조치로 인한 단기적인 국내 수급에는 큰 영향이 없다고 평가하면서도 물가 부담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에는 고삐를 죄고 있다. 앞서 지난 3월 우선 사료·식품업체의 원료구매자금 금리를 기존 2.5~3.0%에서 2.0~2.5%로 0.5%포인트 인하했다. 4월엔 사료곡물 대체 원료인 겉보리와 소맥피의 할당물량을 늘렸다.
정부는 이 같은 단기적 조치와 함께 안정적 식량 공급체계 구축을 위한 대책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부내 관련 부서가 참여하는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 전담반(TF)과 식량공급망 위기대응반을 통해 중장기 대응 과제를 검토한다고 밝혔다.
식량 안보에 농지 확보가 필수적인 만큼 농지 보전에 대한 인센티브도 강화한단 구상이다. 전략작물직불제 도입으로 밀, 콩 등 전략작물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농식품부는 농업계와 전문가 등과 함께 식량 안보 강화를 위한 중장기 과제를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최근 공급망 문제는 안보적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이며, 정부와 기업이 적극 협력해야 할 사안”이라며 “단기적으로는 현재의 식품 원료 공급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국민께 지속적으로 제공해 불안심리가 확산하지 않도록 하되 중장기적으로는 국내 주요 곡물의 자급기반 구축과 안정적 해외 공급망 확보를 통해 식량 안보를 더욱 공고히 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