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22대 총선에서 지역구 후보자로 출마하겠다고 등록한 숫자는 699명이었다. 직전 21대 총선(1101명)보다 38%(402명) 줄었다. 특히 거대양당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양당을 제외한 후보수는 21대 612명에서 200명으로 3분의 1 토막이 났다. 덕분에 이번 총선 지역구 선거 경쟁률은 지난 21대 기준 4.35대 1에서 2.75대 1로 낮아졌다.
양강 구도 속 제3지대 지지율 부진→지역구 공천↓
국민의힘은 254개 전 지역구에 후보자를 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구·경북(TK) 일부 지역에 후보를 내지 않으면서 이보다 적은 246개 지역에서 후보자를 공천했다. 다만 세종시 갑 후보자였던 이영선 변호사에 대한 공천을 23일 밤 전격적으로 취소하면서 민주당 지역구 후보자 수는 최종 245명이 됐다.
이번 총선은 제3지대 정당들이 후보자를 많이 내지 못하면서 후보자 수가 감소했다. 지난 21대 총선에 나왔던 민생당이 사라졌고 허경영 명예대표가 이끄는 국가혁명당은 후보를 내지 않았다. 21대 총선 당시 민생당 후보자 수는 58명, 국가혁명배당금당은 253명이었다.
지난 총선 41명의 지역구 후보를 냈던 우리공화당은 이번 총선에서는 대구와 울산에만 단 2명의 후보를 냈다. 진보계열 정당으로 59명의 지역구 후보자를 냈던 민중당은 이번 총선에서 진보당이라는 이름으로 단 21명의 후보자를 냈다. 75명의 지역구 후보를 냈던 정의당도 이번 총선에서는 17명의 후보를 냈을 뿐이다.
새롭게 창당했던 정당들도 예상보다 적은 숫자의 후보를 공천했다. 개혁신당이 58명, 새로운미래가 28명이었다.
|
50대 남자 비율 절반에 육박
22대 총선 출마자들의 평균 연령은 56.8세였다. 연령별 비율로 봤을 때도 50대는 절반에 가까운 45.1%(315명)를 차지했다. 그 다음이 60대로 35.2%(246명)이었다. 30대는 4.9%(34명), 20대는 0.6%(4명)에 그쳤다.
최연소 후보는 1996년 1월 1일 생인 우서영 민주당 후보(경남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로 선거일 기준 만 28세였다. 최고령 후보는 경북 경주시에 출마하는 무소속 김일윤 후보였다. 김 후보의 나이는 만 85세(1938년생)다. 그 뒤로 김천식 기독당 후보(만 82세, 광주 서구을), 박지원 민주당 후보(만 81세, 전남 해남군·완도군·진도군)가 뒤를 이었다.
원내정당 중 후보들의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당은 진보당으로 평균 49.8세였다. 다음으로 녹색정의당이 51.1세, 개혁신당이 55.2세였다. 민주당은 평균 56.6세, 국민의힘은 57.4세였다. 새로운미래는 59.4세로 원내정당 중 가장 평균 나이가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 비율이 85.8%(600명), 여성 14.2%(99명)로 나타났다. 지난 21대 여성 후보자 비율이 19.0%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여성 후보자 지원이 저조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후보자 중 전과자는 총 242명이었다. 무소속으로 나온 장동호 후보가 업무상 횡령, 음주운전 등으로 총 11개의 전과 기록을 중앙선관위에 신고했다. 양정무 국민의힘 후보는 근로기준법 위반 등으로 전과가 9개 있었다. 노동운동을 했던 권택홍 민주당 후보, 여영국 녹색정의당 후보의 전과는 8개였다.
후보자들의 평균 재산 규모는 27억7704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가장 재산이 많은 후보는 경기 부천시 갑에 출마한 김복덕 국민의힘 후보로 보유 재산이 1446억6748만원에 달했다. 김 후보는 조명기업 ‘소룩스’ 대표 출신이다.
2위는 안철수 후보로 1401억3548만원으로 신고했다. 같은 당의 박덕흠 후보(보은군·옥천군·영동군·괴산군)와 이상규 후보(서울 성북구 을)가 각 562억, 459억을 신고했다. 5위는 서울 강남구 갑에 출마하는 김태형 민주당 후보로 403억원이었다.
재산이 가장 적은 후보는 진선미 민주당 후보(서울 강동구 갑)로 부채가 8억9460만원이 있었다. 이성심 국민의힘 후보(서울 관악구 을)도 부채 5억 8394만원을 신고했다.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지역구 후보자들의 재산이 가장 많았다. 평균 49억24만원이었다. 반면 민주당은 18억9597만원이었다.
새로운미래 후보자들의 재산은 16억789만원, 개혁신당은 13억7260만원이었다. 녹색정의당은 3억848만원, 진보당은 2억4910만원으로 집계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