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별 교육청들은 예산을 들여 ‘1인 1기기’를 목표로 학생 대상 디지털기기 보급 사업을 추진 중이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해 9월 기준, 1800여억원을 투입해 초등학교 5학년과 중·고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태블릿PC·노트북 등 디지털기기를 지급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중학교 1학년 학생에게 디지털기기인 ‘디벗’을 보급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학생들은 1학년 때 보급받은 기기를 졸업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다. 교육청은 지난해 예산 600억원을 들여 관내 모든 중학교 1학년 학생에 7만2000여대, 교원 대상으로 1만7000여대를 보급했다. 광주교육청은 650억원을, 전북교육청은 880억원의 예산을 디지털기기 보급에 투입했다.
유해사이트 우회 방식 확산
학생들의 디지털기기 과다 사용과 게임·유해사이트 접속도 부작용 중 하나로 꼽힌다. 서울에 거주하며 중1·초등학생 자녀를 둔 탁인경 씨는 “집에서도 아이들이 디지털기기를 과도하게 사용해 통제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부모가 아이를 24시간 지켜볼 수가 없는데 쉬는 시간에 태블릿으로 유해 동영상을 보는지 알 수 없어서 걱정이 된다”고 말했다.
하교 시 학교가 디지털기기를 회수했으면 좋겠다는 학부모도 있다. 서울 금천구에서 중1 자녀를 키우는 진명희(76년생)씨는 “태블릿을 잃어버리거나 고장 나는 경우도 있을 텐데 아침에 나눠줬다 집에 갈 때는 회수하는 방식이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송기창 숙명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디지털 교과서 도입·AI교육 강화 등의 흐름을 고려하면 기기 보급은 불가피하다”면서도 “학생들이 디지털기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작용이 최소화되도록 교육 당국과 학부모가 관리 노력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