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13일 ‘미국 금리인상의 파급효과와 대응전략’ 보고서를 통해 “한국을 비롯한 신흥 11개국을 대상으로 위기상황을 가정해 외환대응력과 부도위험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는 안전국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른바 ‘데킬라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다는 얘기다. 1994년 단행된 미국 금리인상은 멕시코 금융위기를 불렀고 이는 아르헨티나, 태국, 필리핀을 거쳐 1997년 한국까지 번졌다. 당시 멕시코 전통술 데킬라에 취한 것 같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은 외환건전성이 좋아졌고 국가부도위험도 안정적이어서 이같은 시나리오가 현실화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
보고서는 “미국 금리인상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한국내 단기자금(3개월간 수입대금+1년 미만 단기외채)이 2700억달러 정도로 추정되지만 이는 외환보유고(3747억달러)에 3개월간 경상수지 흑자(289억)를 더한 외환대응력(4036억달러)으로 방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데킬라 효과가 한국으로 번지기 어렵다는 것은 국가부도위험으로도 알 수 있다. 보고서는 “국가부도위험 가늠자인 신용부도스와프(CDS) 가산금리(프리미엄)는 12월 0.54%로 11개국 중 가장 안정적”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2013년 미 연준이 양적완화 축소가능성 발언을 했을 때도 외국인 투자자들은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자금을 빼내 해당국 주가와 통화가치가 폭락했다”면서도 “당시 한국은 원화가치와 주가가 오히려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조성훈 연세대 교수는 “미국 금리인상은 단기적으로 외환시장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겠지만 이는 충분히 예상된 변화”라며 “오히려 금리인상으로 인한 불확실성 해소가 한국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1997년 외환위기처럼 미국 금리인상발 위기 가능성을 주장하는 일부에 대해 “지금의 우리 외환보유고는 당시보다 14배 이상 증가했고, 위기 대응력도 크게 높아진 상황”이라고 일축했다.
보고서는 기업의 대응전략으로 무역보험, 환변동보험을 통해 환리스크를 줄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미국 금리인상은 외환시장의 불안을 야기하여 환율변동 위험이 증폭될 가능성 때문이다.
또한 ‘위험국’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거래하는 현지기업의 지급불이행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이어 관리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무조건 움츠릴 것이 아니라 안전성과 향후 성장가능성이 높은 신흥국에 대해서는 선제적 인프라투자 등을 통해 현지의 투자수요를 능동적으로 발굴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소영 서울대 교수는 “미국 금리인상으로 인한 금융불안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보면 한국이 선진국 반열에 들어섰는지를 평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미국의 금리인상은 7년간 지속되어온 저금리 시대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사건”이라며 “기본적으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겠지만 신흥국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과 우리기업의 자금사정 악화 가능성에 대한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