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확장 대신 R&D를··삼성전자 장비구매 실종됐다

삼성전자, 새해 반도체·LCD 장비구매 한 건도 없어
무리한 시설 신·증설 대신 R&D·M&A 투자 크게 확대
  • 등록 2013-01-23 오전 10:15:54

    수정 2013-01-23 오전 10:37:42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삼성전자가 새해 들어 반도체 등 주요 부품에 대한 장비를 한 건도 구매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디스플레이도 액정화면(LCD)에 대한 시설투자가 전무했다. 이는 지난해 연초에만 450억원 수준의 부품 장비를 샀던 것과 견줘 이례적이다. 삼성이 기존 부품들의 시장성이 떨어졌다는 판단에 따라 시설확장 대신 연구개발(R&D)에 더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005930)는 올 들어 반도체 등 주요 부품에 대한 장비 구매 계약을 한 건도 하지 않았다. 지난 10일 이루온과 5년간 영상처리시스템(MRF)을 공급받는 내용의 29억원짜리 계약을 체결한 것이 전부다.

이는 지난해 1월 한 달 동안 반도체 장비 3건을 비롯해 총 8건의 계약을 했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수치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월 유니셈(46억원)과 엘오티베큠(10억원), 국제일렉트릭코리아(105억원) 등과 반도체 장비 구매계약을 맺었다. 또 미래컴퍼니(67억원)와 유니셈(10억원) 등에서는 LCD 장비를, 영우통신(207억원)에서는 4G 롱텀에볼루션(LTE) 소형기지국(RRH) 같은 무선장치를 샀다. 총 445억원 규모였다.

삼성디스플레이도 올들어 LCD 장비를 한 건도 구매하지 않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7월 삼성전자로부터 LCD사업부를 넘겨 받았다. 다만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불리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장비에 대한 구매는 5건이 있었다. 참엔지니어링(49억원), 톱텍(396억원), 디이엔티(63억원), 엘티에스(94억원), 원익IPS(213억원) 등으로부터다.

이 같은 삼성의 움직임은 기존 대표적인 캐시카우(현금창출원)였던 반도체·LCD의 생산규모는 더이상 크게 늘리지 않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향후 신·증설보다는 보완투자가 더 두드러질 것이라는 얘기다. 반도체는 미세공정 기술상 이미 한계에 다다랐으며, LCD는 OLED에 업계 패권을 넘겨줄 위기일 정도로 시장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주력 반도체인 D램과 낸드플래시를 이미 각각 25나노, 18나노 공정에서 생산하고 있다. 이론적인 한계인 10나노대에 이미 근접한 까닭에 M램·P램 등 차세대 반도체개발이 더 우선인 상황이다. LCD의 경우 지난해만 해도 적자에 허덕였을 정도로 수익성이 나빠졌다.

삼성전자는 대신 R&D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미래 먹거리를 빨리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수익성이 높은 고객사 맞춤형 솔루션 제품을 크게 늘린 것도 한 요인이다. 삼성전자는 2011년 처음 10조원 이상의 R&D 투자(10조3114억원)를 단행했으며, 지난해에는 이보다 더 확대된 12조원 안팎일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3분기 누적 R&D 투자는 8조8737억원으로 전년 동기(7조5008억원) 대비 1조3000억원 이상 늘었다. 올해는 R&D 투자를 더 늘릴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다소 소극적이었던 소규모 인수합병(M&A)도 크게 늘리고 있다. 상대적으로 취약한 소프트웨어(SW) 분야가 주타깃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낸드 기반의 차세대 저장장치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관련 SW업체인 미국 엔벨로를 인수하기도 했다. 삼성 한 관계자는 “올해부터 사업부별로 재량권이 주어져 소규모 M&A가 잇따를 수 있다”면서 “신성장동력을 빠르게 확보하려는 취지”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시선집중 ♡.♡
  • 몸짱 싼타와 함께 ♡~
  • 노천탕 즐기는 '이 녀석'
  • 대왕고래 시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