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 말 예산상 세외수입으로 잡아놓고도 집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던 유가증권 매각 수입에 대한 관리를 강화키로 하고, 기업은행 주식에 대한 수입관리지침을 상반기 중 마련한다. 수년째 매각이 번복되고 있는 기업은행 주식 매각에 대한 윤곽이 나오는 셈이다. 이 같은 상황을 반영해 정부의 재정 건전성 의지가 강한 만큼 기업은행 주식 매각이 임박했다는 시각이 있는 반면 중소기업 지원, 안정적인 세수 확보 기조가 유지되는 점을 이유로 정부가 서둘러 지분을 내다 팔 필요가 없다는 분석이 엇갈리고 있다.
◇ 기업은행 주식매각 `단골 손님`..올해는 팔까?
재정부가 소유한 기업은행 지분 매각은 예산안 세외수입에 매년 단골로 등장하는 항목이다. 재정부는 지난 2006년 예산 편성때부터 기업은행 지분을 매각해 세외수입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한 번도 실현하지 않았다.
현재 정부(기획재정부)가 보유한 기업은행 보통주는 총 발행주식 5억4600만 주 중 3억7458만주로 지분율은 68.6%. 또 정부 산하 공기업이 정책금융공사(보통주 1.9%), 수출입은행(보통주 1.6%)까지 합치면 범정부 보유지분은 72.1%에 달한다.
정부는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는 `50%+1주`를 남기고 나머지 22.1%를 매각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지난해 13.7%를, 올해에는 정책금융공사, 수출입은행 지분을 통해 8.4%를 매각해야 했다. 하지만 지난해 매각이 진행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연내 매각을 추진 중이다.
정부 스스로 유가 증권 매각 수입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공언한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말 매년 예산상 세외수입으로 잡아놓고 집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던 유가증권매각 수입 관리 강화를 위해 수입관리지침을 마련한다고 밝혔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업은행과 인천공항 등에 대한 주식 매각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오버행(Overhang·대량의 주식 매각이 예정됨에 따라 주가가 판매 목표 가격까지 오르지 않는 현상)`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지만, `클럽딜`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는 점 역시 매각 임박을 점치는 이들의 분석이다.
관련기사 ☞ 재정부, 企銀지분 매각 표류..'첩첩산중 블록세일이나 클럽딜은 약속된 당사자끼리 시간외 매매나 장외시장을 통해 대규모 지분을 사고파는 것을 의미한다. 차이가 있다면 블록세일은 다수의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지분을 파는 형태라 할인률이 크지 않은데 비해 클럽딜은 할인률은 크지만 소수의 기관투자자와 협상으로 단기간에 지분매각을 끝낼 수 있어, 오버행에 대한 부담이 크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 `세수확보 잘되는 데 굳이 매각할 필요 있나` 매각이 여의치 않다고 보는 데는 기업은행 주식이 정부 목표가격에는 임박했지만, 예전 최고가격에는 못 미치고 있다는 점을 첫째 이유로 꼽는다. 과거 재정부는 추가 가격 상승을 이유로 기업은행 주식이 주당 2만1000원을 웃돌았던 시점에도 매각하지 않은 바 있다.
재정부 안팎에선 세수가 잘 걷히는 상황에서 굳이 이익이 나는 회사를 매각해야 할 이유가 있냐`라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클럽딜을 통해 오버행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지만, 클럽딜로 매각을 진행할 경우 할인율이 커 손해가 크다는 점 역시 정부로선 부담이다. `제값을 받기도 시원치 않은 마당에, 손해까지 보냐`는 비난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에 상생경영이 강조되고, 기업은행의 역할이 강조되는 사회적 분위기 역시 매각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분석이다.
재정부는 기업은행 주식 매각이나 규모, 일정 등에 대해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다만 수입관리지침 수립이 임박했다는 점에서 상반기 중에는 기업은행 주식 매각에 대한 대략적인 윤곽을 내놓을 예정이다.
▶ 관련기사 ◀ ☞기업銀, 수출입기업 외상 무역거래 지원 ☞저축銀 문닫아도 80%까지 예금담보 대출..금융위 대책 발표 ☞조준희 행장 "서류만 뒤적여선 안돼"..현장경영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