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통신은 협상 문서를 입수해 세 나라 정부가 ‘행동 강령을 통한 명령적 자율규제’ 방식으로 AI 산업을 규제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고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명령적 자율규제는 규제당국이 큰 틀을 정하면 민간이 그 범위 안에서 자율적인 규제를 제정하도록 강제하는 방식이다. 규제 여부 자체를 민간 자율에 맡기는 ‘자발적 자율규제’(voluntary self regulation)보다는 규제 강도가 강하지만 일방적인 정부 규제나 ‘제재적 자율규제’(sanctioned self regulation·민간이 자율적으로 규제를 만들게 정부 승인을 받도록 하는 것)보다는 민간 자율성이 더 많이 보장된다.
유럽 경제를 대표하는 세 나라의 합의는 현재 이뤄지고 있는 유럽연합(EU)의 AI 규제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유럽의회는 지난 6월 생성형 AI의 안전성 확보·저작권 보호 의무 등을 담은 AI법 초안을 의결했다. 강력한 규제 수위에 IT 업계에선 우려를 드러냈다. 독일·프랑스·이탈리아가 공동 대응에 나선 배경이다. 다만 한 유럽의회 관계자는 세 나라 합의에 대해 “이건 전쟁 선포”라고 반감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