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국내 정보보호 전문기관으로서 정책 기능을 강화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중장기 정책을 수립하는 데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려 한다.”
이원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은 지난 21일 취임 후 첫 간담회를 열고 “`K-사이버방역` 전략처럼 KISA가 정책적으로 국가에 기여하는 역할을 늘려야 한다.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제도 정비와 정책들이 앞으로 많이 쏟아질 텐데, KISA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뒷받침하려고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KISA 위상 높여라” 요구 많아…정책기능 강화 조직개편 실시
2009년 지금의 KISA로 통합 출범한 이후 KISA는 인터넷·정보보호 진흥 업무와 함께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사이버 위협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위협 탐지 및 대응의 역할을 해왔다. 인력은 지난 2009년 537명에서 올해 751명으로 40% 가까이 늘었고, 같은 기간 예산도 1561억 원에서 2536억 원으로 62.4% 급증하는 등 덩치가 커졌다.
이 원장은 “디지털 보안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관련 정부 부처를 비롯해 사회적으로 KISA의 정책적 위상을 높여야 한다는 요구가 나온다”며 “단순한 위탁 운영기관의 이미지를 탈피하고 정책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최근 미래정책연구실 조직을 확대하고, 플랫폼서비스진흥팀을 개편하는 등 조직개편을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더해 침해사고 발생 시 현장 밀착지원을 위한 사이버방역단, 사이버방역팀을 신설했고, 보이스피싱·스미싱 등에 대응하기 위한 전화사기예방팀도 새로 만들었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랜섬웨어 등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R&D) 기능도 재정비할 계획이다.
이 원장은 3년 임기 내 중점적으로 추진한 과제로 △비대면 서비스 보안 강화 △인공지능(AI)·빅데이터 활용한 위협정보 공유체계 확립 △`사이버보안 얼라이언스` 구축 △디지털 혁신 인재양성 △전국 디지털 안전망 강화 △미래 사이버 위협 대응 전략 마련 △전방위적 사이버보안 대응체계 구축 등 7가지를 제시했다.
특히 집적정보통신시설(IDC),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 웹호스팅 업체 등 60개 민간 기업들과 `사이버보안 얼라이언스`를 구축해 보안위협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지난 2014년부터 KISA가 운영하고 있는 `사이버 위협정보 분석공유 시스템(C-TAS)`의 버전2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기존 시스템에비해 정보공유 대상을 60개 민간 업체로 확대할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AI·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결과까지 포함해 공유하는 정보의 질도 더욱 개선될 것”이라며 “내년까지 업그레이드된 C-TAS를 구성해 민간 기업의 정보 수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최근 과기정통부와 구성한 `랜섬웨어 대응 지원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최근 미국에서 최대 송유관 업체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시스템 마비로인해 송유관 가동이 전면 중단됐고, 국내 대기업 해외법인과 자동차 부품업체가 잇따라 공격을 받는 등 랜섬웨어 피해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에 신고된 랜섬웨어 침해사고는 127건으로 전년대비 325% 급증했다.
과기정통부는 KISA의 인터넷침해대응센터(KISC)에 랜섬웨어 대응 지원반을 설치해 24시간 신고 접수·분석 및 피해 복구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 원장은 “랜섬웨어 예방을 위해서는 얼마나 빨리 중요한 위협정보를 수집하느냐가 관건이다. 조그마한 이상 징후도 수집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실효성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기업 입장에서는 충분한 정보를가 없어 랜섬웨어 조직과 협상하기도 하는데, 이런 측면에서 정보 공유가 더욱 필요하다. 랜섬웨어 관련 범부처 공동 대응반을 논의하고 있어 조만간 구체화해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KISA는 블록체인 확산을 위해 올해 19개 과제의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백신접종증명 앱과 관련된 프로젝트도 분산ID(DID) 집중사업에 포함돼 진행 중이다.
이 원장은 “올 하반기에 정부와 공공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해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성공사례를 많이 만들어 낼 것”이라며 “백신접종증명 앱 관련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기업들에 대한 실무 검토를 진행하고 있고, 질병청과 협의도 진전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