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끝이 곧 시작이라는 말이 있죠. 이건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문제에요. 증명을 했으니 실험으로 확인할 일이 남았어요.”
50년간 물리학 외길을 걸어온 60대 노 교수는 또 다른 시작을 이야기했다. 세계 7대 수학 난제 중 하나인 ‘양-밀스 이론과 질량간극 가설’ 문제에 해답을 제시한 조용민(69) 건국대 석학교수를 지난 22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 연구실에서 만났다.
‘새천년문제(millennium problem)’는 미국 클레이수학연구소가 수학 분야의 미해결 문제로 지정한 7개 문제다. 이중 ‘푸앙카레의 추측’만 지난 2002년 ‘은둔의 수학자’로 불리는 러시아의 그레고리 페렐만이 풀어냈다.
조 교수의 해답을 두고 수학 문제를 물리학적 방법론으로 풀어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그가 증명해 낸 문제는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입자들은 질량이 없는데, 질량이 없는 입자로 만들어진 우주는 왜 질량을 가지고 있느냐는 것. 조 교수는 “이 문제는 물리학 문제”라고 잘라 말했다.
“인류 최대의 난제 중 하나에요. 이런 문제를 누가 풀었다고 하면 안 믿죠. 이런 반응은 어떻게 보면 당연해요. 시간이 가면 사실 여부가 밝혀지겠죠. 틀린 점이 있다면 논문으로 반박하면 돼요.”
“이번 증명의 핵심은 ‘초분해’라는 것인데 이 논문이 80년대에 나왔어요. 그동안 계속 이 연구를 해온거죠.”
그는 물리학자로서 가장 어려웠던 점으로 기초과학 분야에 대한 홀대와 학연과 지연으로 엮인 학계 풍토를 꼽았다.
“고등학교 때 물리학과에 간다고 하니 주변에서 다 말리더군요. 어떻게 먹고 살려고 하느냐며 의대에 가라는 거였죠. 그런데 전 그런 게 싫더라고요.”
그때 의대를 갔다면 윤택한 삶을 살 수 있었을 것이라면서도 그는 “후회하지 않는다”고 했다. 다만 아들에게는 물리학을 가업으로 물려줬지만 남의 자식에게는 권하기 어렵다며 안타까워했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있는 조 교수의 아들 프랭클린 조(26)는 이번 논문에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최소한 기초과학을 선택한 이가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지원은 해줘야죠. 학위를 받으면 실업자가 되는 상황에서 어떻게 공부를 하라고 하겠어요. 적절한 곳에 필요한 만큼의 지원은 있어야 기초과학이 발전할 수 있어요.”
그가 밝혀낸 문제는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될까.
“어떻게 사용될지는 저도 몰라요. 원자폭탄의 시작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에요. 시간과 공간의 문제인데, 다른 사람이 보기엔 뜬구름 잡는 얘기겠죠. 맥스웰의 전자기파 이론도 마찬가지에요. 하지만 그 이론이 있었기 때문에 빌 게이츠와 스티브 잡스가 있는 거에요. 어떻게 사용될지 모른다는 게 기초과학의 무서운 힘인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