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간 경영권 분쟁과 검찰 비자금 수사로 관심을 받고 있는 롯데그룹의 롯데장학재단은 공익사업비를 최대 64%까지 줄였고, 송파롯데장학재단은 공익사업비를 한 푼도 쓰지 않았다.
15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30대 그룹 46개 비영리 공익법인(교육 목적 재단 제외)의 최근 2년 간 공익사업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인건비와 관리비 등을 제외한 순수 공익사업지출액이 2790억원으로 2014년 대비 4.1%(120억 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공익사업이 이처럼 위축된 것은 총수입이 3조7640억 원으로 전년대비 6.2%(2490억 원)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공익 법인들의 수입이 줄어든 것은 그룹 계열사 내부 출연 기부금이 3380억원으로 60억 원(1.7%) 감소한 데다 공익법인 수익의 대부분(87.2%)을 차지하는 병원·카페·미술관·상품판매·임대료 등 자체 사업 매출이 3000억원(8.4%)이나 줄었기 때문이다.
제3자 기부금(720억원)과 배당금(730억원)은 전년보다 각각 410억원, 160억원 늘었지만 공익법인 총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로 미미했다.
46개 공익법인 중 지난해 공익사업비를 줄인 곳은 25곳이었고, 4곳은 공익활동에 단 한 푼도 지출하지 않았다. 공익사업비를 줄이거나 쓰지 않은 곳이 전체의 63%에 달했다.
지난해 공익사업비를 가장 많이 줄인 곳은 롯데장학재단으로, 2014년 145억원에서 52억원으로 93억원(64.3%)이나 쪼그라들었다.
이는 2014년 롯데장학재단이 롯데복지재단에 출연했던 기부금 100억원을 지난해에는 한 푼도 집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신 롯데장학재단은 롯데복지재단에 80억원 규모의 금융자산을 이전했는데, 이는 공익사업비에 포함되지 않았다. 두 재단 모두 롯데 일가인 신영자 씨가 대표를 맡고 있다.
감소액 2위는 산업과학기술 진흥 목적으로 포스코(005490)가 100% 출연해 설립한 포항산업과학연구원으로, 2014년 336억원에서 지난해는 246억원으로 90억원(26.9%)이나 줄었다.
SK의 행복나눔재단이 150억원에서 92억원으로 58억 원(38.6%) 줄이며 3위에 올랐고, 이어 삼성복지재단(57억원), 아산사회복지재단(23억 원) 등도 10억원 이상 공익사업비를 삭감했다. 이어 현대백화점사회복지재단, 미래에셋박현주재단, KT&G복지재단, 현대차정몽구재단, 두산연강재단 등도 공익사업비를 최대 8억원 줄였다.
이에 비해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은 공익사업비가 97억원에서 195억원으로 100억원 가까이 늘었고, LG연암문화재단, 포스코1퍼센트나눔재단 등도 30억원 이상 증가했다. 삼성문화재단, 한국고등교육재단(SK),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아산나눔재단(현대중공업) 등도 10억원 이상 늘렸다.
지난해 공익사업비 지출이 가장 많았던 곳은 삼성복지재단으로 400억원의 총수입 중 270억원(67.1%)을 공익활동에 사용했다. 삼성복지재단은 1989년 설립돼 저소득층 가정을 비롯해 청소년, 장애인, 노인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이 246억원으로 2위였고,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195억원), LG연암문화재단(176억원), 아산사회복지재단(173억원), 현대차정몽구재단(167억원), 한국고등교육재단(152억원) 등이 150억원 이상을 공익사업에 투입했다. 이외 CJ나눔재단(142억 원), LG상록재단(132억 원), 삼성문화재단(126억 원) 순으로 ‘톱 10’에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