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7일 한미연합군사령부 창설 41주년 기념식에 보낸 축전 메시지 중 일부다. 전시작전통제권(이하 전작권)전환과 이후 한미연합군을 지휘할 한국군 주도의 미래 연합사 구성에 속도를 내달라는 주문이다. 임기 절반을 남겨둔 상황에서 문재인 정부 내 전작권 전환을 완수하겠다는 의지가 읽히는 대목이다. 전작권 전환 목표 시기는 2022년이다.
이와 관련, 15일 서울에서 열리는 제51차 안보협의회(SCM)는 한미 국방장관간 전작권 전환 등 한미동맹 관련 현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전작권 전환 이후 유엔군사령부와의 관계 설정 문제와 한미 동맹위기관리 각서 개정, 미래 한미동맹 국방비전 연구결과 논의 등이 핵심 이슈다. 그러나 이들 배경에는 전작권 전환을 계기로 미측이 한미동맹 개념을 자국에 유리하게 조정하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어 합의에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
우선은 유엔사 관련 문제다. 미측은 지난 해 10월 미 국방부에서 열린 제50차 SCM에서 유엔사의 지위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때 한미 국방장관은 ‘한국 합참-유엔사-연합사간 관계 관련 약정’(TOR-R·이하 토르)이라는 전략문서에 합의했다. 당시 국방부는 “한미 국방부는 한반도에서 무력분쟁을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해 온 유엔군사령부를 지속 유지하고 지원하며 한국 합참, 연합군사령부, 주한미군사령부, 유엔군사령부간의 상호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약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미측의 요청에 따른 협정이었다는 설명이었다.
한미동맹 위기관리 각서 개정도 협의
이번 SCM에서 논의될 또 다른 현안은 전작권 전환 이후 위기 사태 시 양측의 역할 재정립 문제다. 현재는 한미동맹 위기관리 각서 상 연합위기관리 범위가 ‘한반도 유사시’로 국한돼 있다. 그러나 미측은 ‘미국의 유사시’까지 동맹의 대응 범위를 넓히자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압박하면서 ‘동맹의 역할 확대’를 요구하는 것과 궤를 같이한다.
|
제 50차 SCM에서 합의한 미래 한미동맹 국방비전 공동연구의 결과물도 관심사다. 이번 연구는 전작권 전환과 한반도 안보환경 변화 등에 따라 동맹의 성격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공동의 인식에 바탕을 둔 것이다. 과거 노무현 정부 때도 전작권 전환 추진 계획에 따라 미래 동맹비전을 연구하는 미래 동맹 정책 회의를 운영한 바 있다.
이번 SCM에서 한미 양국은 공동연구의 결과물을 평가할 계획이다. 연구 결과물에는 정전협정 폐기와 평화체제 전환 이후 주한미군의 성격 변화 등의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반도 방위 임무를 넘어 지역 평화유지군이나 안정자로서의 역할 방안 등이 담길 가능성이 크다. 국방부 관계자는 “미래 한미동맹 국방비전은 향후 안보환경 변화를 고려해 동맹의 국방분야 협력을 한층 더 상호보완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공동의 비전을 담아 작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