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경제연구원은 11일 ‘잠재성장률 하락의 원인과 제고 방안’ 보고서를 통해 “국내 잠재성장률은 2026년부터는 1%대로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잠재성장률이란 과도한 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한 국가에 존재하는 자본과 노동 등 생산요소를 최대로 활용했을 때 달성할 수 있는 성장률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한 나라의 ‘기초체력’으로 해석된다. 한 인간이 청년기와 중년기, 노년기를 거치면서 기초체력이 저하되는 것처럼 한 나라의 잠재성장률도 경제가 고도화할수록 둔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1990년대 초반만 해도 7%를 넘었지만, 1997년 외환위기 이후 5.6%(1996년~2000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3.2%(2011년~2015년)로 빠르게 둔화했다. 현재(2016년~2020년) 잠재성장률은 2.5%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연구원은 2021년~2025년 잠재성장률(2.1%)은 2% 초반대로 예상했다. 2026년~2030년에는 1.9%로, 2031년~2035년에는 1.7%로 하락할 것으로 봤다.
부진한 투자 증가율 역시 잠재성장률을 낮추는 주요 요소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세계적으로 수입 수요가 감소했고, 이 때문에 국내 수출이 감소하면서 설비투자 증가율이 절반 수준으로 위축됐다. 1999년~2008년 설비투자 증가율이 9.2%였는데, 2010년~2018년에는 5.4% 수준으로 하락했다.
연구원은 이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고령자나 여성 등의 경제활동 참여를 확대하고, 투자환경을 개선해 외국자본을 유치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신성장 산업의 등장을 촉진하기 위해 규제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홍준표 연구위원은 “규제 개혁을 지속해 기업의 투자심리가 회복되도록 해야 한다”며 “진입장벽이 높은 금융서비스와 교육, 의료, 법률 등의 분야에서 외국인직접투자 진입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