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80% 이상이 은행 대출에 의존하고 있지만 은행권의 문턱은 높기만 하다. 담보가 없으면 보증이라도 세워야 한다. 그러다 보니 좋은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자금이 부족해 꽃을 피워보기도 전에 사그라드는 중소기업이 부지기수다.
코넥스는 이같은 창업 초기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시장이다.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보다 진입 장벽을 대폭 낮춰 벤처와 중소기업들이 보다 쉽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했다.
상장요건은 ▲자기자본 5억원 이상 ▲매출 10억원 이상 ▲순이익 3억원 이상 항목 가운데 하나만 충족하면 된다. 자기자본 30억원, 매출 100억원, 순이익 20억원 이상을 동시에 충족해야 하는 코스닥 상장 요건과 비교할 때 훨씬 수월한 셈이다.
코넥스에 상장하면 코스닥 시장으로 이전 상장할 때 양적요건 완화와 같은 혜택을 받는다. 코스닥 상장 후 최대주주와 벤처캐피탈이 보유하고 있는 지분에 대한 보호예수 의무도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정부는 코넥스가 프리보드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다양한 활성화 방안도 마련해 두고 있다. 우선 시장의 신뢰 제고를 위해 상장기업마다 증권사를 지정 자문인으로 선정하게끔 했다.
지정자문인으로 선정된 증권사는 원활한 상장 지원을 위해 적격성 심사, 공시업무 자문, 사업보고서 작성 지원, 시장규정 준수 지도, 유동성 공급 등을 맡게 된다. 증권사가 코넥스 상장기업의 신뢰성을 어느 정도 담보하게 되는 셈이다.
벤처업계는 코넥스가 효과적인 자금조달 창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벤처업계 한 관계자는 “다양한 활성화 장치를 갖춘 점은 긍정적”이라면서도 “새롭게 시작하는 시장인 만큼 조기 정착을 위해 정부가 보다 더 큰 의지를 갖고 관심을 보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선 아직 갈길이 멀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선 진입 문턱을 크게 낮춘 탓에 투자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단기간에 시장을 활성화하려다 보니 지정자문인에게 과도한 책임을 부여했다는 말도 있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제2의 프리보드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시장 관리와 감독이 철저히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상장법인과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유인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