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산업 활동은 저조했다. 광공업은 반도체(5.3%) 등이 늘었지만 자동차(-6.6%)가 차량용반도체 등 부품 수급차 차질을 빚고 기계장비(-5.6%)는 반도체장비 생산이 조정을 겪으면서 생산이 줄어 0.7% 감소했다. 광공업 생산은 3월부터 3개월째 감소세다.
제조업재고는 0.1% 증가했고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3.8%로 전월과 같았다. 제조업의 재고율은 102.4%로 0.3%포인트 올라 2개월째 상승했다.
서비스업 생산도 0.2% 줄었다. 숙박·음식점(2.5%) 등이 늘어난 반면 도소매(-1.3%), 금융·보험(-1.0%) 등이 감소했다. 의복·음식료품·가전제품 등 판매가 줄고 주식 등 금융상품의 거래가 감소한 영향이다.
전산업 생산 증가세는 공공행정이 이끌었다. 공공행정은 8.1% 증가해 2014년 10월(9.7%)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나타냈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코로나19 백신구입하고 접종 추진 등으로 재료비나 공공지출 비용 늘면서 증가한 것으로 파악했다.
최근 잦은 비 등의 영향으로 의복 등 준내구재는 8.8% 감소했고 외식 수요가 늘면서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도 0.4% 줄었다.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는 1.0% 증가했다.
소매업태별로는 슈퍼마켓·잡화점과 전문소매점이 전년동월대비 각각 13.6% -3.7% 감소했다. 면세점(48.5%), 백화점(18.2%), 무점포소매(12.2%), 대형마트(3.6%),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1.8%), 편의점(1.4%) 등은 일제히 늘었다.
설비투자(-3.5%)도 3개월만에 감소 전환했다.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3.0%)와 항공기 등 운송장비(-4.5%) 투자가 모두 줄었다.
건설기성은 토목(-8.5%)과 건축(-2.6%) 공사 실적이 줄어 4.1% 감소했다. 국내 기계수주는 민간(57.5%)과 공공(33.8%) 모두 호조를 보이면서 전년동월대비 56.0% 증가했다.
|
어 심의관은 “세계 경기 회복으로 수출이 호조고 백신 접종도 확대돼 소비 심리도 상당히 높은 수준인데다 정부의 각종 소비 지원 정책도 긍정적으로 작용해 경기 개선 흐름이 기대되는 상황”이라며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차량용반도체 수급 차질, 원자재가격 상승 등 불안요인도 있다”고 예측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