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는 정부조직개편안을 두고 출범 초기부터 야당과 정면충돌했다. 이어 인사문제로 국회와 계속된 불협화음이 발생했다. 국내 문제 탓에 해외서 달성한 성과가 빛을 바랬다. 전문가들은 정국경색을 해결하기 위해 박 대통령이 야당과 소통에 힘써주길 기대하는 분위기다.
대선 후 1년, 해외서 낸 성과 국내서 까먹어
박근혜정부는 대북정책의 기조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들고 나왔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벼량 끝 외교 전술에 강경하게 대처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의 정상외교는 대북정책 공조와 세일즈 외교에 역점을 뒀다. 그 결과 중국을 북한으로부터 떨어지게 만들어 북한을 구석으로 밀어 넣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이다.
최진 경기대 정외과 교수는 “박 대통령은 외교와 대북 문제는 잘 대처했다”며 “특히 정상외교를 통해 대한민국 브랜드를 상당히 높였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다만 “선거를 통해 국민과 소통에 익숙한 박 대통령은 야당과 소통방식은 미흡했고 노력도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박 대통령은 취임식을 치르기도 전인 올해 1월 29일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의 사퇴라는 철퇴를 맞았다. 이어 3월 한 달 동안 장·차관급 고위직 인사 5명이 잇달아 낙마하면서 인사 난맥상이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현직에 있던 관료들에게도 인사파동의 불똥이 튀면서 박 대통령은 소통부재·밀실인사라는 비난을 받게 됐다.
소통부재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박 대통령이 정치력을 복원하길 기대하는 목소리도 들린다. 신율 명지대 정외과 교수는 “생각이 같은 연대세력과 아무리 얘기해 봐야 전혀 도움이 안 된다”며 “박근혜 대통령은 야당 대표와 진보성향의 시민단체 대표를 자주 만나서 얘기 듣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내년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박 대통령의 레임덕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박 대통령이 야당을 포용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 결국 국민들이 돌아설 것이라는 분석이다. 여야 대치정국은 단기적으로는 야당에게 비판이 쏠릴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대통령에게 책임이 전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최 교수는 “분명히 야당은 문제가 많다고 판단된다”며 “하지만 최종 책임은 대통령에게 돌아갈 수 있어 박 대통령은 올해 말과 내년 초 민심을 잡기 위해 야당과 소통을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한 가지 쟁점은 대선 때 내놓은 복지공약이다. 전문가들은 증세 없이 박 대통령의 복지공약 실천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도 지난 1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해 오늘까지 드높게 흔들어 펄럭이던 경제민주화와 복지의 깃발들은 다 어디로 간 것이냐”며 “박근혜정부가 내놓은 내년도 예산안에서 경제민주화와 복지예산은 찾아볼 수 없다”고 꼬집었다.
복지공약 실천 문제는 당장 나타나는 게 아니지만 지방선거에서 힘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증세는 호경기 때 하는 것이다. 지금처럼 불경기 때 증세하기는 힘들다”며 “증세 없이 복지공약을 실천하기 어렵다는 점을 솔직히 얘기하고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집권 1년차, 여야…첨예하게 ‘힘겨루기’
실제로 1998년 ‘DJP 연대’로 집권한 김대중정부는 집권 초반 김종필 전 총리의 인준을 놓고 반년 가까이 야당인 한나라당(현 새누리당)과 공방을 펼쳤다. 당시 한나라당은 김 전 총리의 도덕성과 5·16군사정변 가담 전력을 문제 삼아 총리인준을 반대한 바 있다.
노무현정부 때도 취임 첫해인 2003년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이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상대로 대통령 당선무효 소송을 제기했다. 결국 대선 전면 재검표가 실시됐다. 노 전 대통령은 당시 국회 시정연설에서 대선 때 측근 비리 등을 언급하면서 ‘재신임 투표’를 제시하면서 다음해 탄핵소추를 당하기도 했다.
이명박정부도 예외는 아니었다. 집권 1년차인 2008년 고소영·강부자 내각 등으로 야당의 공격을 받다가 여름 ‘광우병 촛불시위’로 큰 위기를 겪었다.
홍 소장은 “인사문제와 국정원 개혁문제는 정치권만 관심 있지 국민은 관심을 보이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박근혜정부 1년차는 전 정부들의 1년차와는 다르다”며 “하지만 1~2년 뒤 나타날 수 있는 후폭풍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