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 정치사를 새로 썼다는 평가를 받는 검증청문회와 13차에 이르는 합동연설회, 각각 4차례씩의 정책토론회와 TV 토론회는 '차떼기 당', '부패 정당'으로 낙인찍힌 한나라당의 쇄신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다.
하지만 사생결단식 '네거티브 공방'으로 '카더라'식 폭로가 난무하고 정책 검증이 실종되면서 한나라당의 정치 실험은 절반의 성공에 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선진적인 제도를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금품 수수, 공천 줄세우기 등 낙후된 정치 관행들을 완전히 없애지 못했다.
◇ 검증 청문회 첫 도입·빅2 후보 룰에 따라 완주 '성과'
한나라당 경선 체제는 지난해 6월 박근혜 후보가 한나라당 대표직을 사퇴하면서 사실상 시작됐다. 같은 달 이명박 후보도 서울시장에서 물러나면서 이른바 '빅2' 후보간 1년2개월에 걸친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선거전이 시작됐다.
특히 정당 역사상 처음으로 후보 검증청문회 제도를 도입하면서 도덕성을 집중 검증할 장치를 마련했다. 이는 이회창 전 한나라당 대표가 잇딴 도덕성 검증 논란으로 정권 교체에 실패한 전례를 거울 삼아 도입한 것. 검증청문회를 TV로 생중계하면서 투명성을 높인 것도 성과로 꼽힌다.
경선 투표의 중립성을 담보하기 위해 경선 관리업무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위탁한 것도 정당 사상 첫 시도다. 무엇보다 '빅2' 경선 후보가 당이 정한 룰에 따라 경선을 완주했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로 꼽힌다.
◇ 네거티브 공방에 국민들 '식상'..TV토론회 시청률 5%에 머물러
하지만 이른바 '빅2' 후보간 경쟁이 과열되면서 이 처럼 선진적 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부작용들이 드러났다.
경선 기간 중에도 '빅2'후보 진영은 TV 토론회 실시 횟수, 여론조사 방법 등 경선 룰을 놓고 지루한 줄다리기를 벌여 정치 실험의 신선도를 한단계 떨어뜨렸다.
검증청문회는 수사권이 없는 한계로 '해명청문회'라는 비아냥까지 들었다. 결국 한나라당 경선에서 제기된 각종 의혹들은 검찰 수사까지 이어져, 검찰이 한나라당 경선에 개입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했다. 실제 검찰은 한나라당 경선을 불과 일주일 앞두고 중간수사 결과를 전격 발표, 표심이 한바탕 요동치는 결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이 밖에 경선 투표 당일까지 표를 돈으로 매수했다는 금품 수수 의혹, 공천 줄세우기 등의 의혹이 제기되면서 후진적인 정치 관행을 여전히 극복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남겼다.
▶ 관련기사 ◀
☞한나라당 대선후보 오늘 오후 발표
☞한나라 경선 잠정투표율 70.8%
☞추미애, 민주신당 후보경선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