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뮤지컬 《요덕 스토리》(정성산 작·연출)는 이렇게 막을 내린다. 마지막 노래의 제목은 〈기도〉였다. 북한의 1급 정치범 수용소를 배경으로 하는 이 뮤지컬은 실화를 담고 있고 탈북자가 만들었다는 점에서 2006년 초연부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올해는 국립극장 공연을 시작으로 미국·캐나다·독일 등 12개국을 도는 월드투어를 추진 중이다. 그래서 무대 좌우에서는 영문 자막이 오르내렸다.
|
《요덕 스토리》는 지난 2008년 군부대 투어를 끝으로 2년 가까이 재충전의 시간을 보냈다. 이번 무대는 주제와 이야기·인물은 그대로지만 남녀 주인공인 리명수(최수형)·강련화(신효선)가 부르는 〈휘파람을 부세요, 사랑해요 요덕!〉을 비롯해 6곡이 추가됐고 안무(서병구)와 편곡(송시현), 무대디자인(신수이) 등이 달라졌다.
아버지가 정치범으로 몰려 요덕으로 끌려간 강련화와 함께 관객도 비극적 추락을 체험한다. 서치라이트 같은 조명이 객석을 훑을 땐 서늘한 기운을 느꼈다. 최수형과 신효선은 〈용서〉 〈오랫동안 지켜왔지〉 같은 노래에서 가창력과 함께 감정을 뭉치는 솜씨를 들려줬다.
하지만 수용소의 고문과 총살, 수용소장 리명수와 강련화의 사랑, '요덕이'의 탄생, 탈출과 죽음 등으로 점프하는 이야기는 거칠었다. 무대 디자인은 기능적이지 않았고, 반복되면서도 변주나 공간감이 부족한 악몽 장면 등 무대언어가 가난했다. 노래와 춤으로 북한 사람들의 영혼을 그린 의미 있는 공연이지만 완성도는 여전히 아쉬웠다. 충격요법과 예술적 긴장 사이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할 때다.
|
▶ 관련기사 ◀
☞무대가 서점… "추억도 팔고 책도 팝니다"
☞아빠랑 ''엄마를 부탁해'' 애인과 ''70분간의 연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