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보다 많았던 1분기 실손보험 청구
20일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실손보험 위험손해율은 137.2%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포인트 상승했다. 위험손해율이란 발생손해액을 위험보험료로 나눈 수치다. 손해율이 100%를 넘게 되면 가입자가 낸 돈보다 보험금으로 타가는 돈이 많이 나간다는 의미다.
사실 보험업계는 코로나19 영향으로 1분기 병원 이용량이 줄면서 실손보험의 손해율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오히려 청구액이 늘어나면서 전년말보다 손해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실액도 늘었다. 지난해 1분기 5206억원이던 손실액은 올해 들어 6931억원으로 33.1% 급증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실손보험 손해율은 지난 2018년 이후 계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며 “병원 이용량이 줄어들어서 손해율 인하가 예상됐지만, 3월부터 진료비 청구가 서서히 늘어났고 오래전에 진료를 받은 뒤 보험금 청구를 하지 않았던 것도 최근에 들어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지역 모임 블로그나 카페 등 커뮤니티에서는 ‘어디 병원에서 도수치료를 받고 보험금을 청구해서 받았다’면서 병원 정보까지 교류하고 있다. 물론 병원 이용 후의 실손보험 청구는 불법은 아니지만, 받지 않아도 되는 진료를 받는 등 ‘과잉 진료’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다른 가입자가 선의의 피해를 볼 수 있다는 게 보험업계 설명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5월 재난지원금이 나간 뒤에는 도수치료 등 다소 높은 금액의 실손보험 청구 건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며 “실손보험금의 경우 간단한 진단명과 진료 결제 영수증만 청구하면 되기 때문에 이를 별도로 골라내기가 어렵고 현재는 진료비 심사를 통해 적정 치료를 했고 아닌가 정도만 판단하고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손해율 상승에 정부 ‘보험료 차등제 추진’
실손보험 손해율이 증가하면서 정부는 지난해 말 ‘보험료 차등제’ 등의 구조개편을 추진키로 하고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연구용역은 보험연구원이 진행하고 있다. 결과는 내달 말 나올 예정이다.
보험료 차등제를 도입한 나라는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이며, 영국의 경우 14등급까지 등급을 나눠 보험료를 최대 70%까지 차이를 두고 있다.
지난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금융감독원이 공동으로 추진한 ‘건강보험 가입자의 합리적 의료이용을 위한 공사 의료보험 상호작용 분석 연구’에 따르면 60세 미만의 실손보험 가입자 3874만3000명 중에서 실손보험 가입 이후 단 한 번 도 보험금을 청구하지 않은 사람이 무려 40%에 달했다. 반대로 실손보험에 자기부담금이 적을수록 병원에 더 자주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그동안 보험금을 한 번도 청구하지 않았던 실손보험 가입자 40%가 의료이용량이 많은 다른 가입자로 인해 상승한 보험료를 계속 부담해 왔던 셈이다.
실제 지난해 보험사들은 실손보험 손해율이 130%가 넘고 2조4000억원 규모의 손실액을 발생하자, 올해 구 실손보험과 표준화 실손보험의 보험료를 약 10%대 올린 바 있다. 실손보험 손해율은 지난 2018년 121.8%, 지난해 134.6%로 계속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보험료 차등제가 나오면 비급여의 과잉진료를 막을 수 있어 손해율 개선이 도움은 될 것”이라며 “2분기 추진으로 알고 있었는데, 코로나19 등으로 진행이 늦어지면서 실제 도입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