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인프라 개선을 요구하는 쪽은 터무니없이 낮은 국공립 어린이집 비율을 지적한다. 현재 전체 어린이집에서 국공립 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5%에 불과하다. 국공립 수준의 법인 어린이집은 3.5% 정도다. 반면 민간 어린이집(아파트 단지 등에 설치된 가정 어린이집 포함)은 90%에 육박한다. 이윤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민간 시설 비중이 앞도적으로 큰 상황에서는 아이들이 제대로 성장할 만한 환경을 갖추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숙진 젠더사회연구소 소장은 “민간어린이집 상황을 들여다보면, 수지타산을 맞추기 위해 식비나 난방비를 줄이는 등 서비스질 저하가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민간 어린이집이 전체의 90% 정도 차지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아무리 철저하게 관리와 감독을 강화한다고 해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공성을 갖춘 어린이 시설을 늘려야 민간시설도 거기에 버금가는 서비스를 맞춰 나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동수당 도입에 대해선 “보육은 사회복지 서비스로 수당과 별개로 운영돼야 한다”면서 “국공립 시설을 한번에 늘리기가 어렵다면, 시간제 보육서비스나, 가정보육교사 파견 등 대체서비스를 국가가 제공하는 식으로 가야한다”고 선을 그었다.
반면, 아동수당 도입이 필요하다는 쪽은 공공시설 확충과 별개로 수당을 직접 부모에게 지급해 선택권을 넓혀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차상위계층이나 장애아동 등에 한정해서 주는 수당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전 계층을 포괄할 수 있는 현금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문가 사이에서는 아동이 건전하게 성장하는 데 최소한 필요한 비용을 고려할 때, 자녀 1명당 월 10만원 정도 지급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편, 아동수당 정책이 어느 정도 소득이 있는 중산층을 위한 정책이란 비판도 나온다. 최정은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보육담당 연구원은 “장시간 노동으로 시달리는 저소득층은 아동수당을 받더라도 부모의 보육 선택권을 누리지 못하기 때문에 아동수당 제도는 어느 정도 시간과 소득이 보장된 중산층을 위한 제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 관련기사 ◀
☞[내 아이를 부탁해Ⅱ]①부모 80% "보육수당 직접 받고 싶다"
☞[내 아이를 부탁해Ⅱ]②"부모선택권은 Yes! 복잡한 정책은 No!"
☞[내 아이를 부탁해Ⅱ]③강화하는 시설 규제, 실효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