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외교안보분야 전직 고위관계자와 만난 자리에서 나온 이야기다. 그간 한국 정부는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대일 외교관계는 대일 외교관계대로 접근한다는 ‘투트랙’ 방식을 고수해왔다. 그러나 박근혜 전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 해결 없이는 한일 정상회담은 없다’고 못 박았다.
물론 모든 책임을 박 전 대통령에게 돌리기에는 그의 취임 직후부터 불거진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독도 소유권 주장 등 일본 측의 도발을 무시할 수 없다. 그럼에도 이는 오히려 한국의 외교 입지를 약화시켰다. 한일갈등이 미국의 아시아전략에 영향을 미치자 미국이 관계를 개선하라는 압박을 한 것이다. 정작 피해자는 소외된 한일 위안부 합의라는 외교참사가 탄생한 배경이다.
미쓰비시 중공업을 상대로 한 손해배상 소송 원고 측 대변인인 김정희 변호사는 “다른 루트로 피해자 측과 접근이 이뤄졌을지도 모르겠다”면서도 “최근 대위변제라던가 현금화 유예라는 안(案)이 정치권을 중심으로 나오고 있지만 모두 언론을 통해 들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피해자의 이해가 없는 해결은 결국 상처를 곪게 하고 사안을 더욱 어렵다는 사실을 우리는 한일 위안부 합의를 통해 우린 이미 배웠다. 진정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정치력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