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의원은 “각종 개인정보 보호 관련 규제와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능력 부족 등으로 국내 빅데이터 기술과 시장은 선진국에 비해 낮고, 추진력도 약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제기된 ‘범부처 빅데이터 정책 컨트롤타워 설치’ 등을 통해 실효성 있는 대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능정보사회 대비 빅데이터 정책방향’이라는 주제로 토론 발제를 맡은 류관희 교수(충북대학교 빅데이터연구소장)는 “빅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인 동시에 기반기술인 만큼 주요 선진국과 데이터 기술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을 집중적으로 개발해야 한다”며 “프라이버시 침해 없이 데이터를 유통·활용해 활성화를 추진하고, 창업기업 및 중소기업 지원으로 4차 산업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빅데이터 활용 사회문제 해결 사례’로 발제를 한 윤혜정 단장(KT빅데이터사업추진단)은 “대한민국의 개인정보 관련 법률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공의 이익을 창출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빅데이터 전문업계를 대표하여 ‘빅데이터 전문기업 및 인력양성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제에 나선 김인현 대표(투이컨설팅)는 “국내 데이터 시장은 5년 정도 경험을 갖춘 전문 인력을 선호하나 중견 및 중소기업은 전문 인력 확보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인력 배출 대비 채용도 부진하다”고 말했다.
|
미래창조과학부 융합신산업과 이재형 과장은 “정부3.0 등과 맞물려 공공·민간에서 빅데이터 프로젝트가 증가하며, 국내 시장은 연간 30%이상 고성장 중”이라고 설명하고, 정부의 올해 빅데이터 정책 추진방향으로 데이터의 사회적·산업적 활용 촉진을 통한 ICT융합 가속화 , 지능정보 기술개발 활성화를 위한 대규모 데이터 기반 구축·데이터 전문기업 육성 및 인력양성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제시했다.
이재진 실장(한국데이터진흥원 유통사업실)은 “데이터 생태계에서 다양한 데이터의 융·복합을 통한 가치창출의 전제요건은 데이터 유통”이라고 주장하고, 데이터 유통의 성공조건으로 데이터의 가치와 구매력,데이터 가공을 위한 품질과 표준 확보, 데이터 소유권, 저작권 및 개인정보 등 법적 문제 해결을 꼽았다.
인터넷기업협회 이응우 수석연구원은 “사전 데이터 수집 단계부터 이용과 제공까지 일괄해서 가해지는 법적규제 등과 사실상 강제적으로 정해지는 가이드라인 등 정부 중심의 사전 규제방식(Opt-in)은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근본적으로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현장에서 느끼는 정부와 국회의 개선 노력은 많이 부족하다.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개인정보의 폭넓은 정의, 정부 중심의 규제, 분산되고 혼란스러운 법제도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