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노사정 대표자들이 ‘노동시장 구조개선을 위한 노사정 합의문’에 서명하던 날 김대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위원장은 이같이 말했다. 360일간의 대타협 과정에 대한 소회가 담긴 한 마디였다.
김 위원장은 1990년대 인하대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참여사회연구소 소장, 참여민주사회시민연대(참여연대) 정책위원장 등을 지내며 진보적 노동경제학자로 이름을 날렸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4년에는 노동부 장관을 지냈다. 노동계에도 쓴 소리를 아끼지 않는 등 합리적 중도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으며 노사정 대타협을 이끌어낼 인물이란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그에게도 지난 1년은 결코 순탄치 않았다.
지난해 9월부터 시작된 노동시장구조개선 논의는 봄부터 급물살을 타는 듯 했다. 하지만 한국노총의 대타협 결렬 선언으로 무산 위기에 몰렸다. 김 위원장은 대타협 결렬에 책임지겠다며 사의를 표하고 칩거했다. 4개월 뒤 박근혜 대통령의 복귀 요청에 노사정위로 돌아왔지만 상황은 변한 게 없었다. 많은 이들이 노사정 대타협은 이미 물 건너간 일이라고 고개를 저었다.
대타협은 이뤘지만 노사정의 사회적 대화는 이제 시작이다. 노사정 합의안 중 법제화가 필요한 부분은 국회로 공이 넘어갔지만, 아직 노사정위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더미다. 일반해고와 취업규칙 변경 2개 쟁점 과제의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후속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 노·정이 첨예하게 대립해온 사안이어서 접점 찾기가 결코 쉽지 않은 사안이다.
후속논의를 둘러싼 환경은 녹록치 않다. 전경련 등 경제 5단체는 ‘노사정 합의에 의해서는 진정한 노동개혁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해졌다’고 반발하며 국회 입법청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노사정 대타협은 ‘노동개악이자 야합의 산물’이라며 총파업을 선언했다.
김 위원장은 “노사정이 노동시장 구조개선을 위해 대타협한 사실 자체가 우리의 소중한 사회적 자산이자 역사적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했다. 노사정위가 산적한 난제를 해결할 ‘솔로몬의 지혜’를 보여주길 기대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