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단 2시간 만에 치킨 3000마리, 1억원 이상을 먹어치웠다. 이들이 마신 맥주 캔(높이 17㎝)을 한 줄로 쌓아올리면 마니산(469m)보다 높다더라. 일반여행객과 비교가 안 된다.” 최근 치킨·주류업계 관계자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다. 치킨을 뜯어도 쇼핑을 해도 스케일이 남다르다. 일례로 지난달 28일부터 닷새간 열린 ‘2016 국제로타리세계대회’를 유치한 경제효과는 쏘나타 1만 4000대 수출과 맞먹는다는 계산도 나왔다. 각국이 앞다퉈 마이스(MICE) 관광객 유치에 혈안인 이유다.
한국에서도 마이스는 정부 차원의 주력산업으로 떠올랐다. 주요 제조업의 성장이 둔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외화벌이와 고용창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2012년 1243조원이었던 세계 마이스산업 규모는 2017년 170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2014년 기준 한국 마이스산업의 경제효과는 총지출비용 12조 565억원, 생산유발효과 22조 1911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9조 6796억원에 달했다. 15만 5000명의 고용유발효과도 있었다.
경제효과↑ 황금알 산업…정부 차원 유치 힘쓰는 이유
마이스 관광객은 기본 여행경비를 회사 등에서 지원받기 때문에 일반 관광객에 비해 씀씀이가 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지난해 발표한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에 따르면 기업이 비용을 대고 입국하는 마이스 참가자의 1인당 평균 지출경비는 3127달러(약 352만원), 평균 체류기간은 7.7일이다. 이는 일반관광객 소비 지출액 1715달러보다 1.8배 많은 수치다.
마이스 전담 여행사의 한 관계자는 “단기간에 수백억원의 경제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수년에 걸쳐 개별여행객을 확보하는 것보다 실속 차원에서 낫다”며 “고용측면에서도 제조업의 2배, 정보기술(IT)산업의 5배 규모로 특히 청년취업률이 높아 지역 간 유치경쟁이 뜨겁다”고 말했다.
|
포스트 아오란 찾아라…방한객 관광수요로 이어질 것
즉각적인 경제효과뿐 아니라 마이스를 통해 입국한 외래 방한객의 사후 관광 수요가 이어질 수 있다는 측면에서 더 큰 소득이란 해석도 나온다. ‘포스트 아오란’을 찾는 이유다.
마이스 관광객 유치로 재미를 봤거나 이를 지켜본 관련 업계는 단체포상관광이 언제 어디서 이뤄지는지 파악에 나서는 등 협찬 물밑작업이 한창이다. 주류업계 측 관계자는 “이번 중국 단체관광객이 대규모 치맥파티를 즐기고 간 건 시작에 불과하다. 입소문을 타고 베트남·싱가포르·대만 등에서 문의가 높다. 기업의 신성장동력이자 효자 분야”라고 말했다. 이어 “단체포상관광 일정을 경쟁업체보다 먼저 파악하기 위해 치열한 정보전은 물론 철저히 비밀에 부친다”면서 “다만 면세점 유치현상처럼 과다경쟁이 우려된다. 정부 차원에서의 제도적 접근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게 업계 전언”이라고 귀띔했다.
▶ 관련기사 ◀
☞ [뜨거운감자 '마이스']① 마이스, 한국관광 '통째' 바꾼다
☞ [뜨거운감자 '마이스']② 마이스관광객, 1.8배 더 쓴다
☞ [뜨거운감자 '마이스']③ 지자체는 '마이스' 유치전쟁 중
☞ [뜨거운감자 '마이스']④ 서울 벗어나면 '실망'…인프라 시급
☞ [뜨거운감자 '마이스']⑤ 한국 마이스 세계4위…현실은?
☞ [뜨거운감자 '마이스']⑥ "마이스 총괄 컨트롤타워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