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21일 “국내 은행의 작년 4분기 말 부실채권 비율이 0.47%로 전 분기에 비해 0.03%포인트 올랐다”고 밝혔다. 이 비율은 2020년 1분기말(0.78%) 이후 계속 떨어져 2022년 3분기 0.38%까지 내려왔다가 지난해 1분기 0.41%, 3분기 0.44%로 계속 오르는 중이다. 그러다 작년 말엔 0.47%가 됐다. 1년 전보다 0.7%포인트 오른 셈이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여신(0.59%)과 가계여신(0.25%) 모두 부실채권 비율이 전년 대비 0.07%포인트씩 올랐는데, 그중에서도 중소기업 여신과 신용카드 부실채권 비율이 눈에 띄게 상승했다. 작년 말 중소기업 부실채권 비율은 0.64%로 전년보다 0.11%포인트 늘었고, 신용카드 부실채권 비율은 1년만에 0.45%포인트 상승하며 1.36%를 기록했다.
다만 금감원은 “아직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보고 있다. 금감원은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전 분기말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코로나 이전 대비 크게 낮은 수준”이라며 “대손충당금 적립률도 예년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실채권 상·매각 등 은행권이 자산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하는 한편, 대내외 불확실성 등 리스크 요인을 반영해 대손충당금 적립을 확대토록 유도하겠다”고 덧붙였다.
은행권이 부실채권을 시장에 내놓으면서 이를 투자 대상으로 삼는 NPL 시장은 불이 붙는 모양새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에만 1조8000억원 정도의 물량이 시장에 나왔다. 작년 동기의 2배가 넘는 규모다. 통상 하반기에 물량이 늘어나는 걸 감안하면 올해 물량만 7조원 안팎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NPL 업계 관계자는 “물량이 늘어나는 건 가계, 기업 모두 부실이 조금씩 늘고 있는 영향으로 보인다”며 “단순 계산하면 올해만 6조~7조원의 물량이 나올 수 있는데, 이 수준을 넘어가면 시장에서 소화하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