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한국행정연구원 사회조사센터에 따르면 지난 11월 교수, 연구자, 언론인, 시민단체 등 전문가 5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정부는 내년 7월부터 만 65세 이상 노인중 소득 하위 70%에게 국민연금 가입기간과 연계해 10만~20만원까지 차등지급하는 기초연금안을 추진중이다. 이에 대해 ‘반대한다’가 71.7%(38명)로 ‘찬성한다(15.3%)’보다 4배 이상 많았다. ‘보통이다’는 13.2%였다.
특히 정부 기초연금안의 실질적 도입가능성에 대해서도 ‘부정적’이라는 답변이 62.3%로 ‘긍정적(22.6%)’보다 3배나 많았다.
실제로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기초연금 도입으로 인해 2014~2017년간 총 39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현행 기초노령연금에 따른 재정소요액보다 14조2000억원이 더 늘어난 금액이다.
특히 새 정부의 복지정책에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은 2013~2017년 매년 조세부담률을 0.95~1.68%포인트 높이고 1인당 조세부담액도 25만5000~54만7000원이 증가한다. 4인가구기준 1가구당 추가로 부담해야 할 조세액은 2017년 219만원이나 된다.
연구원은 “기초연금 재원마련을 위해 조세 인상과 세목의 신설을 통한 재원조달로 미래세대의 부담을 줄이고 국민이 함께 부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단지 높은 조세부담이 복지국가로 가는 해결책이 아닌 만큼 공공부문의 재정지출 효율화를 위한 정책과제의 제시와 홍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이 제시한 기초연금 재원 조달방안에는 사회복지세 도입, 소비과세의 강화, 부동산 세제와 금융소득종합세 강화, 국민납부지원청 설립, 복지 강화를 위한 증세, 기초연금 재원 연계 강화, 기초연금을 노인수당으로 변경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