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런데 안전처와 기상청뿐 아니라 우리나라 정부 홈페이지 대부분이 일본 기상청이나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보다 무거운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의 접근성보다는 외관에 치우치다 보니 이미지를 너무 많이 써서 첫 화면의 용량이 지나치게 무거워진 것이다.
국민들에게 공공정보 접근 권리를 보장하고, 정책 참여의 수단이 돼야 하는 정부 홈페이지가 소통의 창구가 아닌, 국정 홍보만을 위한 창구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는 네이버(035420) 등 인터넷기업들이 첫 화면을 최대한 가볍게 해서 국민들의 데이터 사용량을 줄여주려는 시도와 대비된다. 네이버는 얼마 전 ‘라이트홈’을 선보이고, 해외에서 맞춤형 정보를 빠르고 쉽고 저렴하게 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IT융합비즈니스전공과 웹·애플리케이션(앱) 평가·인증 전문기관인 웹발전연구소가 45개 전 중앙행정기관(중앙부처)의 홈페이지 메인 화면 용량을 측정해보니 우리 정부 홈페이지들은 지나치게 무거웠다.
특히 국민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과학기술로 미래 성장동력을 만들기 위해 출범한 미래창조과학부 홈페이지가 가장 무거웠다.
미래창조과학부(15.4MB)에 이어 국가보훈처(13.4MB), 외교부(11.2MB), 고용노동부(11.2MB)가 홈페이지를 보기 위해 10MB 이상의 데이터 전송량을 요구했다. 5MB 이상 10MB 이하 홈페이지도 14곳(새만금개발청,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국무조정실, 교육부, 조달청, 법제처,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국세청, 문화재청, 경찰청)으로 집계됐다.
홈페이지 용량이 크면 사용자가 접속을 시도하는 기기에서 그만큼 많은 데이터를 내려 받아야 하기 때문에 대기 시간도 길어진다.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을 시도하면 해당 부처의 서버에도 부하가 걸린다. 지난 9월 12일과 19일 경주에서 지진이 발생한 직후 국민안전처 홈페이지가 연이어 먹통이 된 것도 갑자기 접속자가 몰리면서 서버가 과도한 트래픽을 감당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문형남 숙명여대 IT융합비즈니스전공 주임교수 겸 웹발전연구소 대표는 “지진 발생 당시 기상청과 국민안전처 홈페이지가 다운되면서 뭇매를 맞았지만, 이번 조사 결과 거의 모든 부처 홈페이지가 기상청과 국민안전처보다 용량이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다양하고 종합적인 성능 테스트는 물론, 중앙부처 홈페이지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또한 “홈페이지 관리 가이드와 자체평가 기준도 수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관련기사 ◀
☞ "해외에선 데이터 적게쓰는 슬림 네이버 쓰세요"
☞ 창조경제혁신센터 페이스북 마케팅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