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의 의견도 다르지 않았다. 새누리당식 구조개혁의 방향은 맞다는 의견과 함께 너무 성급하다는 비판도 동시에 나왔다.
“구조개혁 좋은 아이디어…장기적으로 그 방향 가야”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고려대 경제학과 겸임교수)은 2일 이데일리와 통화에서 “구조개혁은 좋은 안이다. 장기적으로는 그 방향으로 가야 한다”면서도 “다만 바로 우리나라에 접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한 단계를 더 거쳐서 가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윤 연구위원은 그러면서 신규자와 재직자가 함께 고통을 분담하는 구조개혁을 제안했다. 시간이 더 걸려도 지속가능성까지 고려하면 신규자와 재직자를 분리하지 말고 함께 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구조개혁의 핵심은 적자 보전액을 줄이는 게 아니라 지속가능성 차원에서 지급률을 삭감하는 것”이라면서 “그러려면 명분이 필요한데, 보험료율(기여율)을 20% 올리면 지금처럼 공무원과 정부가 10%씩 부담하는 게 아니라 7%, 13%를 각각 내고 장기적으로 늘리는 식으로 하는 게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배준호 한신대 경제학과 교수(정부개혁연구소장)는 “구조개혁을 해도 좋고 모수개혁을 해도 좋은데, 다만 장기간 개정하지 않을 수 있는 개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조개혁 쪽에 더 기운 의견으로 읽힌다.
“신규 공무원 반쯤 죽이는 與안…구조개혁 능사 아냐”
김 교수는 “(정부·여당의 안은) 재직자들의 피해가 훨씬 작다”면서 “예전 (2009년 등 당시 공무원연금을 개혁할 때를) 답습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도 했다.
정창률 단국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경실련 사회복지위원장)도 “구조개혁을 하겠다는 게 진짜 포퓰리즘”이라면서 “국민연금은 절대 롤모델이 될 수 없는 급여다. 공무원연금을 국민연금에 맞추라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두 연금간 무리한 통합은 안된다”고도 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지난해 공무원연금 보고서에도 이런 고민은 묻어있다. KDI는 “세계적으로 개혁의 다양성에도 거의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가 기존 제도를 유지하며 점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라면서도 “다만 대부분 선진국은 구조개혁이 오래 전에 마무리된 이유도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이 지난 1983년 법 개정을 통해 구조개혁을 본격화한 게 대표적이다. 일본(1986년)과 영국(1975년)도 다층적 구조개혁을 오래 전부터 해왔다. 반면 독일과 프랑스 등 서구 유럽 국가들은 모수개혁이 중심이었다 .
▶ 관련기사 ◀
☞ [연금개혁 실패 이번엔 안된다]④연금개혁 여야 손익계산서는 없다
☞ [연금개혁 실패 이번엔 안된다]③찬반 엇갈리는 與 구조개혁론
☞ [연금개혁 실패 이번엔 안된다]②"공무원연금 지급률 대폭 낮춰야"
☞ [연금개혁 실패 이번엔 안된다]①공무원 저항할때 국민연금은 반토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