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9월 말 현재 대형 저축은행의 총자산이 전체 업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3.5%로 전년동기 41%에 비해 12.3%포인트 불어났다. 반면 소형 저축은행의 자산 비중은 같은 기간 30.3%에서 21%로 9.3%포인트 줄었다. 순이익 비중도 대형 저축은행은 39.7%로 3.5%포인트 커졌지만, 소형 저축은행은 24.6%로 5.7%포인트 감소했다. 저축은행수도 대형은 14개로 4개 늘어난 반면 53개였던 소형 저축은행 수는 47개로 줄었다.
대형저축銀 공격적 영업확대..소형저축銀 수익성 더 악화
이는 대형 저축은행의 공격적인 영업 전략 때문이다. 이들이 대출에 적극 나서면서 9월 말 기준 대형 저축은행의 총자산은 전년동기대비 57% 늘었지만 소형 저축은행 총자산은 16% 줄었다. 특히 일부 대형 저축은행의 소액신용대출 증가세가 눈에 띈다. OK저축은행은 올해 9월 말 2361억원의 소액대출에 나서 전년동기대비 3.2배로 불어났다. 웰컴저축은행의 소액신용대출도 2316억원으로 1.38배로 증가했다.
서정식 예보 저축은행관리부 팀장은 “수익성은 모두 악화됐지만, 소형 저축은행의 하락폭이 더 크다”며 “법정최고금리 인하, 인터넷 전문은행 출범 및 은행의 중금리대출시장 진출에 따른 업종 간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한 소형저축은행의 부실화 우려는 여전하다”고 말했다.
금리상승기...저축은행 부실 우려도
일각에서는 현 상태가 2011년 저축은행 부실사태와 유사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당시 PF대출을 매개로 대형 저축은행이 공격적인 영업행태에 나서면서 양극화가 심해졌고 결국 부실로 이어졌다.
금리상승의 여파는 저축은행 주요 고객인 저신용자, 저소득자에게 더 크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금융연구원 분석 결과 저축은행 전체 개인 대출자 가운데 80%가 7~8등급이고 대출 당시 연소득이 2000만원 이하인 저소득층도 40%로 가장 많다. 저축은행 대출자들은 이미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부담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상승기에 한계 차주로 전락할 가능성이 더 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0월 말 저축은행 대출금리는 10.92%로 은행 3.29%보다 7.63%포인트 더 높다.
몸집 불리기에 나서는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 지역밀착의 서민금융기관으로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할 시점이 됐다는 지적도 있다. 이규복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는 저축은행을 은행과 차별화되는 지역 밀착형 금융기관으로 키워보자는 것”이라며 “하지만 대형 저축은행이 복수의 영업구역과 비대면 채널을 통해 계속해서 대형화하는 것은 당초 정부가 제시한 저축은행 모습은 아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