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원장 김도훈, 이하 KIET)은 15일 ‘중국 스마트폰산업의 글로벌 도약 전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세계 최대 규모인 자국 스마트폰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한 중국이 글로벌시장 진출도 본격화함에 따라 우리나라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 및 제품 차별화 전략과 차세대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투자 강화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
중국 스마트폰시장에서 중국 로컬 브랜드의 점유율은 2010년 약 8%에 불과했으나 2013년에는 약 65%로 상승하며 1위로 도약했다. 업체별로는 2013년 삼성이 17.8%를 차지하여 1위를 기록했지만, 상위 10위 업체 중 8개 중국 업체가 51.4%를 차지했다.
스마트폰 제조업체 최다 보유국인 중국은 2013년 세계 스마트폰시장에서도 국가기준 점유율(약 28%) 2위로 급상승하며 한국(약 36%)을 빠르게 추격해 온 상황이다.
이러한 추세로 화웨이, 레노버, ZTE, 쿨패드 등 중국 메이저업체에 이어 최근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샤오미가 중화권을 벗어나 금년 2월 싱가포르 진출을 시작하며 글로벌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2016년경에 보급형을 포함한 전체 스마트폰시장에서 중국업체들이 점유율 기준 1위가 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중국 스마트폰은 낮은 브랜드 및 핵심기술력, 지적재산권 문제 등의 성장 제약요인이 있지만, 아세안 등 잠재성장률이 높은 신흥시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입지 강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 스마트폰의 급성장에는 ▲세계최대인 자국시장과 ▲개방형 플랫폼(안드로이드OS, ARM기반 프로세스 솔루션 등)이 작용했으며, 그 이외 ▲‘가격우위를 갖춘 제조역량’▲‘안정된 부품조달체계’▲‘통신장비·PC분야와의 시너지’▲‘정부 지원책’이 기여했다.
|
중국 스마트폰은 경쟁우위 요인인 가격경쟁력이 낮은 기술력을 보완하며 성장했지만, 최근 기술면에서도 상당수준 선진국을 추격한 상황이다. 중국은 IT융합, SW기술 등은 아직 선진국과 격차가 존재하지만, 제조 역량을 포함한 HW기술은 빠르게 선진국을 추격한 것으로 산업연구원은 평가했다.
|
이에 따라 산업연구원은 중국의 거센 추격에 대응하고 포스트 스마트폰 시장을 주도하려면 기술 및 제품 차별화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국내 삼성의 브랜드 인지도는 1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2013년 6월 23.8%에서 지난 4분기 22.5%, 금년 1분기에는 20.5%로 소폭의 하락세를 보인다.
이는 중저가 제품의 수요가 높은 중국 등 신흥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제품 다양화 및 차별화가 시급함을 나타내는 것이며, 신흥국의 4G 서비스 본격화에 대응한 선도적·차별적 제품경쟁력 확보도 필요하다는 것.
특히 연구원은 국내 스마트폰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핵심부품의 수출확대를 위해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스마트폰용 핵심부품(모바일 반도체, LCD, OLED 등)의 비교우위 유지와 지능형 융합부품(융합센서, 시스템반도체 등)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포스트 스마트화 및 초연결시대 도래에 대비하여 유망 핵심부품산업의 미래경쟁력 확보, 수출확대를 위한 민·관의 전략적 투자 강화가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중국은 국내 휴대폰부품 총수출에서 43.5% 비중을 차지하는 수출 전략지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