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노조측은 파업 강행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어 쌍용차 미래가 더욱 불투명해지고 있다.
쌍용차(003620)는 평택공장에 한해 31일 오전 8시30분부터 직장폐쇄 조치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유일 법정관리인은 “회사를 살리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회사를 살리는 조치가 될지, `끝장대립`을 불러와 결국 공멸하는 조치가 될지 두고봐야 한다는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다. 협력업체들도 대립 장기화에 따른 연쇄부도 위기감에 휩싸여 있다.
◇ 쌍용차 직장폐쇄 초강수 배경은?
쌍용차가 직장폐쇄를 단행한데는 무엇보다 노조의 공장점거 총파업 등으로 생산활동이 전면 중단되면서 회사의 존립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절박한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노조는 이달 21일부터 공장을 점거한 체 옥쇄파업에 돌입했다. 26일부터는 이유일·박영태 공동 법정관리인을 포함해 사무 관리직의 출근마저 전면 저지하고 있다.
쌍용차는 총파업으로 인력조정이 지연될 경우 회생 일정 전반의 차질발생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 "내달 8일 대규모 정리해고 강행"
현재 쌍용차가 노조측에 통보한 정리해고 인력은 1100여명이다. 지난 27일 인사위원회를 열어 당초 경영정상화 방안에서 제시한 2646명 중 희망퇴직 인원을 제외한 1112명을 최종 인력감축 규모로 확정했다. 이어 28일에는 정리해고 기준과 함께 노조측에 공식 통보했다.
사무직(사원~부장) 대상 희망퇴직에 모두 317명이 신청했으며, 기능직(생산직)의 경우 총 795명이 신청서를 제출했다.
쌍용차 관계자는 "최종 인력감축 규모에서 이달 말까지 분사를 신청한 인력은 빠진다"며 "이같은 해고회피 노력에도 불구, 잉여인력에 대해선 다음달 8일 정리해고를 통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구조조정을 놓고 노사 갈등이 첨예하게 맞서면서 쌍용차의 앞날도 갈수록 불투명해지고 있다.
쌍용차에 따르면 지난달 24일부터 지속된 노조의 부분 및 전면파업으로 3700여대의 생산 차질이 발생했다.
특히 최근 정부의 세제 지원책 이후 자동차 내수시장이 활기를 되찾고 있지만, 쌍용차는 노조의 총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로 이같은 호기를 놓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노조측은 파업이나 정리해고 반대에는 변화가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노조측은 "사측이 직장폐쇄에 이어 공권력 투입이라는 수순으로 간다면 이에 단호히 맞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법원과 채권단은 성공적인 인력 구조조정을 쌍용차 회생의 첫 번째 선결조건으로 꼽아왔다. 법원은 최근 삼일회계법인 실사를 통해 쌍용차 존속가치를 높게 평가하면서도 `인력 구조조정이 계획대로 이뤄져야 한다`는 단서조항을 달았다.
업계 관계자는 "쌍용차는 단기적으론 슬림화를 통해 생존을 모색할 수는 있지만, 중장기적으론 재매각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재매각을 위한 전제조건인 인력구조조정과 노사간 생산성 제고 등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는다면 채권단이 청산 결정 쪽으로 기울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 관련기사 ◀
☞쌍용차, 평택공장 직장폐쇄 단행
☞쌍용차 "내달 8일 800명 정리해고 통보"
☞노조 총파업…쌍용차 전격 휴업(상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