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6년 4월 20일 서울시가 20년 후의 도시 모습을 발표한 ‘서울 도시기본계획’에 담긴 내용이다. 당시 서울의 주택 보급률(주택 수를 가구 수로 나눈 값)이 69.7%였다는 점을 생각하면 주택 보급률을 해마다 1% 가까이 올리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것이다.
20년이 지난 현재 서울시의 예상은 빗나갔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1년 서울의 주택 보급률은 97.1%로 시의 전망을 11.9% 포인트나 웃돌았다. 지난해에는 97.9%를 기록해 올해를 기점으로 98% 선을 넘어설 것이라는 의견이 적지 않다. 전국으로 눈을 돌리면 2007년 100.7%를 기록한 이래 지난해 103.5%까지 올라선 상황이다.
문제는 주택 보급률이 주택의 배분 상태를 보여주지 못하는 ‘깜깜이 통계’라는데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국내 과세 대상 주택 수는 2007년 252만 4936가구에서 지난 9월 현재 315만 1199가구로 8년 새 24.8%(62만 6263가구) 늘었다. 같은 기간 주택 관련 세금을 내는 사람은 217만 9905명에서 249만 888명으로 14%(31만 983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늘어난 주택이 실수요자가 아닌 2주택 이상 보유자에게 더 많이 몰린 셈이다.
실제로 2007년 서울시내 2주택 이상 보유자 중 세금을 내는 사람은 15만 404명으로 주택 관련 전체 납세자의 6.9%를 차지했다. 이들이 가진 주택 수(49만 5435가구)는 전체의 19.6%였다. 그러나 9월 현재 2주택 이상 보유자 중 과세자는 22만 5131명으로 8년 새 49.7%(7만 4724명) 늘었다. 주택 수도 88만 5438가구로 79%(39만 2가구) 증가했다. 정부가 부동산시장의 껍데기만을 보여주고 국민이 원하는 정보 제공에 실패했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 은평구는 미분양 주택 '0'?…정부 통계의 '거짓말'
☞ [부동산통계 '구멍']주택수도 모르는…정부 '깜깜이 통계'
☞ [부동산통계 '구멍']"2만 표본가구, 통계로서 의미 없어"
☞ [부동산통계 '구멍']연봉 4500만원도 입주…'주먹구구' 공공임대 소득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