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황현규 김호준 기자] 세월호 참사가 5주기를 맞은 가운데 전국 곳곳에는 세월호를 기억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됐다. 광화문 세월호 기억 공간과 안산 4·16 생명안전공원(건립 예정)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기억 공간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국가적 재난을 기억하자는 좋은 취지”라며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있는 반면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세월호 공간으로 평가받았던 서울 광화문 세월호 천막에 방문한 시민은 지난 4년 8개월간 총 120만여명에 달한다. 평일에는 하루 평균 400여명, 주말 평균 2000여명 꼴이다. 지난 2014년 8월 방한한 프란치스코 교황도 세월호 천막을 찾았다. 이후 매주 수요일 세월호 추모 미사 등이 천막에서 이뤄졌고 다양한 세월호 관련 문화제도 이 곳에서 열렸다. 세월호 천막은 현재 세월호 기억 공간으로 대체됐다.
직장인 박성용(30)씨도 “소위 냄비 근성이라고 할 정도로 사건들은 쉽게 잊히기 마련”이라면서 “안전의식 강조와 진상 규명 등에 세월호 공간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기억 공간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광화문 세월호 기억 공간을 반대하는 국민청원이 대표적이다. 해당 청원자는 “대한민국 수도의 중심지이자 관광명소인 광화문 광장에 그런 식으로 추모공간을 설치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국민이 모두 동의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같은 행정은 수정이 필요할 것 같다”고 주장했다.
세월호 기억 공간에 우려를 표하는 이들은 공공시설에 공간이 들어서는 만큼 사회적 합의가 절실하다고 주장한다. 기억공간이 사회 갈등만 부추길 수 있다는 얘기다. 서울 강북구 주민 윤모(29)씨는 “추모와 공간의 취지는 이해되지만 이를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은 다른 문제”라며 “오히려 추모와 기억을 강요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 영등포구에 사는 김지훈(32)씨도 “아직 기억에 대한 합의도 안 된 것이 사실”이라며 “섣부른 기억 조성은 다른 정치적 논란만 가지고 올 뿐”이라고 우려했다.